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신라 시대 ‘香’과 그 문화-香의 용례 검토를 통하여
숭실사학
2019 .01
전통 향문화 콘텐츠와 향(香)산업의 융합 - 세계적 향기업 니폰코도(日本香堂)사례를 중심으로 -
일어일문학
2020 .08
『香譜』에 대한 연구
漢文古典硏究
2024 .06
일본의 후각문화와 향(香)
동아인문학
2015 .09
고대 이집트와 이스라엘 제의에서 향(incense)이 갖는 상징적 의미
구약논단
2018 .12
요대 불탑 출토 향로 연구
숭실사학
2023 .06
고려의 향문화(香文化)와향로(香爐)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2023 .06
향(香)과 헤이안왕조(平安王朝)
일본문화학보
2015 .08
『마쿠라노소시』에 묘사된 ‘향’의 용례 고찰
일본문화연구
2024 .01
침법(枕法)에 관한 문헌기록과 대전시립박물관소장 향침(香枕)의 제작기법
민속학연구
2021 .11
数字时代下对于脱身体化现象的反思与实验 ―以中国传统印香文化与感知能力提升的关系为例
중국학논총
2024 .06
헤이안문학에 나타난 향도(香道)와 다키모노(薫物)
日本學硏究
2023 .05
무가(武家)의 향(香)과 향목(香木)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17 .04
2010년대 한국과 일본의 편의점, 점원, 사회, 문학 : 무라타 사야카(村田沙耶香)의 『편의점 인간』과 박영란의 『편의점 가는 기분』
한국학연구
2017 .12
근세 조선의 향물(香物) 문화 고찰 - 부용향(芙蓉香)의 역사와 문화
일어일문학연구
2022 .05
일본의 전통문화 콘텐츠를 활용한 브랜드마케팅 : 아와지시마와 향(香)
동아인문학
2016 .09
향목(香木)과 와카(和歌)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19 .04
아와지 섬의 선향 산업사 -지역의 향토사료를 중심으로-
일본문화학보
2023 .11
백제금동대향로 인물 도상의 성격-인물상의 특수성을 통한 백제대향로의동아시아미술사적 의의 탐색
백제학보
2024 .05
근대 동아시아 해역의 해항도시 부산과 일본불교의 사회적 역할 - 통사적 연구를 위한 시론 -
인문사회과학연구
2019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