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한정균 (고려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일본근대학회 일본근대학연구 일본근대학연구 제78호
발행연도
2022.11
수록면
95 - 112 (18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3)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쇼와시대를 대표하는 작가중 한 사람인 미사마 유키오(三島由紀夫)의 단편소설 중 가장 유명한 작품을 꼽으라고 한다면 1961년도에 발표된「우국(憂国)」을 꼽을 수 있을 것이다. 이 작품의 경우 미시마 자신의 애착도도 강했던 작품이다. 그러나 「우국」의 연구방향은 이 작품이 미시마의 작품중 가장 노골적으로 쇼와천황을 비판하고 있는「영령의 소리(英霊の声)」와 함께 희곡 「십일의 국화(十日の菊)」 와 함께 1966년 단행본 영령의 소리(英霊の声) 로 묶이며 <2.26사건 3부작>으로 불리기 이전과 이후로 나뉘어진다. 「우국」이 처음 발표되었을 때는 미시마의 미적 관점에서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며, <2.26사건 3부작>으로 엮인 이후에는 작품의 배경이 되는 2.26사건과 함께 작품의 정치성에 관한 연구가 두드러졌다. 그러나 2005년 동성애적 성향의 작품인「사랑의 처형」이라는 작품이 미시마의 작품으로 공식적으로 인정받으며, 이 작품이 「우국」의 모태가 되는 작품이었다는 것이 드러남으로 인해 「우국」에 관한 연구는 재검토의 필요성이 생겨났다. 「사랑의 처형」이라는 작품이 정치성이 전혀 담겨져 있는 작품이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점에 따른 미시마의 「우국」에 관한 언설의 변화를 따라가며 이 작품이 2.26사건에 관한 어떠한 의도를 가지고 쓴 작품이 아니라는 것을 「사랑의 처형」이라는 「우국」의 정치성의 안티테제와 같은 존재를 통해서 밝혀내려고 하였다. 또한 「우국」에 관한 작가의 언설이 1965년 영화 <우국>이후에 완전히 변한것에 기인하여 이 작품이 소설가 미시마 유키오가 아닌 자연인 미시마 유키오에게 어떠한 의미를 가지게 되었는지를 1965,6년의 미시마의 작품에 관한 언설들 통해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미시마가 쓴 작품인 「우국」이 역으로 작가에게 영향을 끼치게 되었고, 미시마에게 죽음에 관한 하나의 ‘상’을 제공했다는 점을 밝혀내었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