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국 신종교 개벽사상의 수행적 성격-동학⋅천도교, 증산교, 원불교를 중심으로-
신종교연구
2016 .01
근대 전환기 ‘개벽’의 불온성과 개념화 ? 동학?천도교를 중심으로
인문논총
2021 .11
한국 개벽종교와 토착적 근대
종교문화연구
2018 .06
영조의 정치와 개벽
역사와실학
2022 .04
동학과 개벽운동
현대사상
2021 .07
1920년대 계몽적 글쓰기 공간으로서의 『開闢』 : 『開闢』에 나타난 ‘생활’과 ‘언론’의 기표를 중심으로
국어문학
2018 .07
동학의 토착적 근대성과 생명평화사상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19 .09
근대의 재발견으로 개벽종교를 치유하다 : 조성환의 『한국 근대의 탄생 - 개화에서 개벽으로』를 읽고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18 .12
동학 콘텐츠의 현황과 전망
신종교연구
2018 .01
개벽학! 세상에 알리다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18 .12
??개벽?? 논조의 사회주의화에 관한 새로운 접근 ? 토픽 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인문논총
2021 .01
『개벽』의 종교적 사회운동론과 일본의 ‘종교철학’
인문논총
2015 .01
[歓迎辞] 近代の省察、韓国の開闢
원불교사상연구원 학술대회
2018 .08
개벽파의 개벽담론 : 세계적 담론의 핵심 키워드를 포착하다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19 .09
개벽의 길과 문명개화의 길 [서평] 이영호(2020), 『동학?천도교와 기독교의 갈등과 연대, 1893~1999』, 푸른역사, 411쪽.
인문논총
2020 .01
1920년대 개벽사의 미디어 전략과 문학시장의 구조적 변동
대동문화연구
2021 .01
동학의 ‘수도’와 ‘개벽 운동’ — 불교적 관점을 중심으로 —
개념과 소통
2024 .06
3·1운동 이후의 말, 『개벽』과 독자 ―독자투고, 현상문, 강연문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
2023 .03
정산 송규의 개벽사상과 그 전개 - 일원개벽(一圓開闢)에서 삼동개벽(三同開闢)으로 -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21 .12
개벽사상, 어떻게 공부해야 하나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24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