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신동진 (한국폴리텍1대학) 김종진 (건국대학교)
저널정보
한국공간디자인학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제16권 제8호
발행연도
2021.12
수록면
437 - 450 (14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연구배경 및 목적) 애플스토어는 지난 20년간 혁신적인 디자인을 선보이며 소매점도 세계적인 건축물로 평가될 수 있음을 증명한 대표적 사례이다. 본 연구는 애플스토어 디자인이 보여주는 '단순함'의 원형이 '신고전주의 건축 양식'으로부터 비롯되었음을 제시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신고전주의 건축의 유형별 특성을 검토하였고, 그 결과로서 도출된 건축 형태와 공간의 특성이 애플스토어 디자인에 어떻게 적용되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의 방법은 문헌 연구와 사례 연구로 구분한다. 문헌 연구는 잡스의 전기에서 애플스토어 디자인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언급되는 바우하우스 건축가들이 신고전주의 건축의 사상과 형식에 영향 받았음을 근거로, 애플스토어 디자인과 신고전주의 건축과의 연관성을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신고전주의 건축의 두 가지 유형인‘복고적 신고전주의 건축’과‘혁명적 신고전주의 건축’그리고 이와 연관된 근현대 합리주의 건축을 선행연구를 통해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로서 도출된 특성과 애플스토어 디자인의 두 가지 유형인‘거리형 전면매장’과‘광장형 지하매장’의 특성을 종합함으로써 이후 사례 연구에 사용될 분석의 틀을 제시한다. 사례 연구는 2017년 애플스토어 디자인의 전략이 변경되기 이전, 잡스의 디자인 철학이 온전히 반영된 플래그십 스토어 개념의 단독 건물 매장 중 핵심 매장으로 회자되고 있는 곳을 각 유형별로 3곳씩 총 6곳을 선정한다. 거리형 전면매장으로는 스탠포드 쇼핑 센터점(Apple Stanford Shopping Center), 오모테산도점(Apple Omotesando), 서호점(Apple Westlake)을 대상으로 하고, 광장형 지하매장으로는 뉴욕 5번가점(Apple Fifth Avenue), 푸동점(Apple Pudong), 졸를루 쇼핑 센터점(Apple Zorlu Center)을 대상으로 한다. (결과) 결과적으로 이들 선정 대상을 앞서 제시된 사례 분석의 틀로 분석함으로써 신고전주의 건축의 두 가지 유형의 특성이 애플스토어 디자인의 두 가지 유형으로 전이 되었음을 규명함과 동시에 애플스토어 디자인을 건축사의 흐름 안에 새롭게 조명코자 한다. (결론) 본 연구는 잡스의 이데아적 세계에 대한 현실 세계의 재현으로서 애플스토어 디자인 1기의 건축과 공간의 원형을 찾는 연구이다. 애플스토어는 건축의 형태로 브랜드와 제품을 강력히 상징하며 각인시키고, 그 내부의 공간이 그러한 브랜드와 제품에 대해 몰입할 수 있도록 특별한 경험을 부여한다. 이렇듯 21세기 혁신의 상징과도 같은 매장이 18세기 고전적 건축의 모습과 닮아있다는 것은 매우 흥미로운 결과이며, 이는 소매점의 건축과 공간을 보다 비약적으로 바라보려는 새로운 관점으로서 의미가 있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15)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