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중 문헌설화에 나타난 귀신담 - 18세기 이전 작품을 중심으로
동남어문논집
2019 .01
幽明錄 ‘鬼’ 故事를 통해 살펴본 六朝時期 사회풍조와 鬼文化
동양학
2019 .01
한국 귀신 관련 속담 연구
어문학
2023 .03
루쉰이 불러낸 귀신들: 시선과 질문들
중국어문학논집
2015 .08
朝鮮 性理學의 鬼神論 비교연구
동양철학연구
2018 .01
생전예수재를 통해본 불교의례의 융합적 특성 : 천태종 구인사(救仁寺) 사례를 중심으로
민속학연구
2016 .06
元雜劇 ≪後庭花≫ 연구 — 元代 鬼神劇에 내재된 공포의 본질에 대하여
중국어문논총
2024 .07
토니 모리슨의 『비러비드』와 한강의 『소년이 온다』에 나타난 유령의 양상
동서비교문학저널
2019 .09
조선시대 여성 신분에 따른 귀신 형상화 방식의 차이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021 .12
元代 雜劇 〈盆兒鬼〉에 관한 一考
중국어문학논집
2020 .04
‘人鬼의 사랑 이야기’를 통해 살펴본 魏晉南北朝시기 鬼文化와 사회풍조 - 『搜神記』, 『幽明錄』을 중심으로
동양학
2021 .10
춘추전국시대의 귀신 담론
중국문학
2022 .02
植民地朝鮮と日本の怪談 ー日韓併合前後における「怪談」概念の変容をめぐってー
日本學硏究
2015 .01
『鬼吹燈』系列網絡盜墓小說的空間敘事研究
중국어문학논집
2018 .08
제임스 조이스의 「죽은 사람들」에 나타난 죽음 이미지와 게이브리얼의 자아인식
영어영문학21
2020 .01
주자 귀신론 형성의 사상적 배경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20 .12
한 · 일 여성 원귀담의 비교 고찰 : 여성 원귀의 생성원리와 섹슈얼리티
한국학논집
2018 .06
한국 귀신 명칭의 명명 방식 연구
한국학연구
2023 .06
애도와 유령: 유령으로서의 문학
비평과이론
2019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