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주조박
저널정보
언어과학회 언어과학연구 언어과학연구 제110집
발행연도
2024.9
수록면
71 - 93 (23page)
DOI
10.21296/jls.2024.09.110.71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study examines Korean and Chinese adnominal clause markers and compares and analyzes their grammatical features, functions, usage, and characteristics. An adnominal clause is a cross-linguistic structure that exists in many languages and generally refers to a clause that modifies a noun. Although Korean and Chinese have different basic word orders, adnominal clauses in both languages are placed before the nouns they modify. In addition, both Korean and Chinese have markers that indicate adnominal clauses. In the case of Korean, ‘-(eu)n’, ‘neun’, ‘-(eu)l’, and ‘-deon’ are used as adnominal clause markers, while in the case of Chinese, ‘de’ is used as an adnominal clause marke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can be said that Korean and Chinese adnominal clause markers have similar grammatical functions, but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usage and grammatical features.

목차

1. 서론
2. 한국어 관형사절 표지
3. 중국어 관형사절 표지
4. 한국어와 중국어 관형사절 표지의 대조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151-25-02-0910379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