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국어 읽기 교재에 나타난 활동 연구 : 통합 교재와 학문 목적 읽기 교재를 중심으로
언어학 연구
2015 .07
중학교 영어 교과서 읽기자료 구성 분석: 2009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언어학
2015 .01
중국 초등학교 어문 교과서의 체제와 내용 분석
국어교육연구
2015 .10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의 읽기 텍스트 연구 -다양성 및 난이도를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2018 .01
Genres and Proficiency: An Analysis of Reading Passages in Middle-School English Textbooks Used in Korea, France, and Hong Kong
영어영문학연구
2023 .05
일반목적 한국어 교재와 학문목적 한국어 교재의 차별성 연구 -텍스트 주제, 텍스트 유형, 읽기 활동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2020 .01
영어교과서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영어영문학
2022 .08
고등학교 영어교과서 어휘의 진정성 분석
영어영문학
2017 .08
중국어 2급 교재 어휘 분석 - 『國際漢語敎學通用大綱』과 비교하여
중국어문학논집
2019 .06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3rd Grade English Textbooks from China and Korea
영어영문학21
2015 .01
문학 교과서 개발과 구성의 경직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작은 교과서'를 지향하며 -
문학교육학
2019 .01
초등영어 교과서의 단어 읽기 지원 정도 분석
영어교과교육
2021 .01
L2 English Reading Fluency in Korean Elementary Schools: Analyses of National English Curriculum and Textbooks
Journal of Asia TEFL
2021 .10
코퍼스 기반 한·중 초등영어 교과서 비교
초등영어교육
2021 .12
교수요목기 중등 역사 검정 교과서의 발행 상황과 목록화
역사교육
2019 .09
코퍼스 분석 도구를 이용한 중국어 교재 텍스트의 어휘와 정형 표현 분석
중국어문학
2020 .01
초등학교 6학년 영어 교과서 문화내용 분석
영어영문학
2015 .05
An Analysis of Reading Materials and Activities in Sixth Grade English Textbooks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언어과학
2020 .01
문법 영역의 성취기준 해설 등이 교과서 내용 구성에 미치는 영향 : 2015 개정 교육과정과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를 대상으로
국어교육연구
2018 .06
Examining the Current English Textbook in Bangladesh: Critical Scrutiny from a Teacher’s Perspective
Foreign Languages Education
2021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