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비밀번호 변경 안내
비밀번호를 변경하신 지 90일 이상 지났습니다.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비밀번호를 변경해 주세요.
비밀번호 변경 안내
비밀번호를 변경하신 지 90일 이상 지났습니다.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비밀번호를 변경해 주세요.
UCI(KEPA) : I410-ECN-0101-2009-511-018114082
병원성 비브리오와 비병원성 비브리오 사이의 세포외 효소 활성 차이점을 비교하기 위하여 마우스를 이용하였다. 각 균주들을 마우스에 약 10^8 CFU로 복강 주사한 다음 다시 분리하여 세포외 효소 활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병원성 비브리오의 세포외 효소 탐색은 protease(BSA, casein, skim milk, gelatin), mucinase, hemolysin, hyaluronidase 및 chondroitin sulfatase 활성을 측정하여 수행하였다. 그리고 elastase 활성, fibrinolysis 활성을 측정하는 방법을 본 연구에 맞게 확립하였다. 치사율이 높게 나타나는 균주에서는 시험 대상의 세포외 효소의 활성이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치사율이 낮아질수록 세포외 효소의 활성은 낮게 나타났다. 치사율에 비례하여 활성을 높게 보이는 효소는 대부분의 proteases, hemolysin이 뚜렷하였으며, 그 외의 대부분의 세포외 효소들도 병원성 균주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다. Hemolysis의 경우는 치사율이 높은 V. vulnificus, V. parahemolyticus 등의 균주에서는 β 완전 용혈소의 분비가 뚜렷하게 관찰되는 반면, 치사율이 낮은 균주에서는 α 불완전 용혈소의 분비를 관찰할 수 있었다. V. harveyi는 비병원성 균으로 알려졌음에도 불구하고 병원성 균에서 분비하는 세포외 효소들을 대부분 분비하고 치사율도 매우 높음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병원성 비브리오균주의 높은 세포외 효소의 활성은 이 효소의 생산이 비브리오균들의 pathogenicity에 깊은 연관성이 있음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The members of the genus Vibrio include harmless aquatic strains as well as strains capable of causing infections in human and fish. Pathogenic mechanisms are only understood for Vibrio cholerae O1 and O139 and not for the majority of Vibrio species. Twelve clinical and nonclinical strains were examined by in vitro and in vivo experiments for the importance of extracellular enzymes as a virulence determinant of Vibrio species. In vivo cytotoxicity assay was performed by injecting approximately 10^8 cells/mL into mice (BALB/c). V. harveyi and V. vulnificus showed 100% lethality within 3 hr after bacterial injection. V. fluvialis and four strains of V. parahaemolyticus showed 50% lethality within 4 hr. V. mimicus, V. alginolyticus and V. furnissii revealed 30% lethality within 9 hr. Nonclinical strains, V. campbellii and V. ordalii, did not show any lethality. In vitro protease and hemolytic activities were also good indicators for clinical and nonclinical strains of Vibrio species. The clinical strains showed much higher activities than nonclinical strains. The activity of some clinical strains of re-isolates was evidently increased. Most clinical strains had β hemolytic activity.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revalent distribution of extracellular proteases in pathogenic Vibrio sp. implies their importance as a virulence determinant.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요약
감사의 글
문헌
도움이 되었어요.0
도움이 안되었어요.0
알림 설정하기
논문 오류신고
신고항목
이 논문의 참고문헌을 찾아주세요.
이 논문의 참고문헌을 찾아주세요.
구매하기
장바구니
인용양식
공식 스폰서와 앰부시 마케팅의 광고 크리에이티브 효과 : 2009 광저우 아시안게임을 중심으로
기관인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