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프랑스혁명 200주년의 기념사업과 학문전략
Ⅱ. 집단의 초상화
Ⅲ. 불가능한 종합과 불투명성의 재발견
Ⅳ. 혁명의 정치문화
Ⅴ. 맺음말
불문 초록
영문 초록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프랑스 혁명의 교육사적 고찰 ― 1792~1795년 고등교육을 중심으로 ―
프랑스사 연구
2001 .02
프랑스혁명은 여성들에게도 정말로 ‘혁명적’이었을까? ― 영화로 읽는 프랑스혁명 Ⅱ ―
프랑스사 연구
2002 .02
‘혁명’의 개념 변화에 관한 고찰 : 프랑스와 러시아의 경우를 중심으로
동서인문
2014 .10
1989년 이후, “프랑스혁명”에 대한 연구사적 검토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2006 .06
한나 아렌트와 프랑스혁명
역사와 담론
2016 .10
The Influence of French Art on Korean Art : What is French and What is Korean
Korea Journal
1986 .06
평등과 자유 - 대혁명기 프랑스의 가족관행
프랑스사 연구
2001 .08
1920년 투르전당대회 - 공산주의 인터내셔널과 공화국의 대결 -
대구사학
2004 .01
Literature of Revolution
Korea Journal
1961 .09
프랑스 문화 연구방법론 고찰(1)
서강인문논총
2003 .12
1886~1910년 한ㆍ불 통상관계가 미약했던 원인에 대한 역사적 고찰 : 프랑스 외무부 사료를 중심으로
프랑스사 연구
2004 .02
Necessity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Refinement Education: Focusing on the French Language*
통번역교육연구
2018 .01
공포정치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 프랑스 역사교과서와 공포정치
역사교육
2010 .03
영화로 읽는 프랑스혁명 Ⅰ ― <프랑스대혁명>의 사학사적 분석
프랑스사 연구
2001 .02
프랑스혁명과 기업가들
역사교육
2001 .12
새로운 문필공화국을 향하여 : 18세기 프랑스사 연구와 디지털인문학의 사례들
역사학보
2018 .12
역대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에서 ‘혁명’ 서사의 변화
인문논총
2018 .01
[프랑스·이탈리아] ‘풍성한’ 수확의 시기 : 2009~2010년 프랑스사와 이탈리아사
역사학보
2011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