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中和舊說의 문제의식은 무엇이었나?
3. 中和舊說의 日用工夫: ‘已發’ 공부로서 格物과 居敬
4. 중화신설: 居敬格物 ‘日用工夫’체계
5. 맺음말
【참고문헌】
〈摘要〉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중화논변에서 주자 철학의 ‘격물’설
철학연구
2007 .05
朱子의 中和說 변천과정과 ‘敬’工夫論
동양고전연구
2012 .01
주자의 중화신설과 경의 공부론
철학연구
2000 .12
朱子 哲學에서 未發 涵養의 문제 : 中和 論辯 시기를 중심으로
철학연구
2007 .11
茶山 未發說의 특징
동양철학
2009 .01
주자 수양론에서 ‘미발 공부’의 목적과 방법 그리고 도덕심리학적 의미
동양철학
2009 .01
『전습록』에 보이는 ‘功夫’와 ‘工夫’에 관한 一考
양명학
2003 .08
霞谷의 退溪 비판에 나타난 工夫論에 대한 연구
한국양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04 .10
공부는…
인물과사상
2008 .08
載震의 中和論: 未發論의 해체와 욕망 소통론의 수립
철학연구
2010 .12
주자의 敬 : 일상의 철학을 위한 공부론
철학논총
2006 .07
지금 이 시간, 우리는 무엇을 공부할 것인가?
제3시대
2019 .11
趙聖期의 工夫論
인문학논총
1999 .12
주자학의 실천공부론 : 誠과 敬 공부를 중심으로
동서문화
1997 .02
圓佛敎禪의 意味에서 본 工夫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1994 .12
퇴계와 근기남인近畿南人의 학문적 연속성 문제 재검토 : 중화논변中和論辯과 미발이발未發已發의 공부론工夫論을 중심으로
국학연구
2012 .12
[동시] 꽃 공부 간 날 외 1편
창비어린이
2008 .09
栗谷 修養工夫論의 意義
철학탐구
2001 .12
朱子의 大學章句에 대한 辨證 硏究 : 格物補傳을 中心으로
민족문화
1983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