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서론
Ⅱ. 자율적 창구단일화의 의의와 긍정적 측면
Ⅲ. 교섭위원회의 구성
Ⅳ. 교섭위원회의 운영
Ⅴ. 결론 : 요약정리
〈Abstract〉
대법원 1993. 4. 27. 선고 91누12257 판결
노동조합법 제33조 제1항 본문은 "노동조합의 대표자 또는 노동조합으로부터 위임을 받은 자는 그 노동자 또는 조합원을 위하여 사용자나 사용자단체와 단체협약의 체결 기타의 사항에 관하여 교섭할 권한이 있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교섭할 권한"이라 함은 사실행위로서의 단체교섭의 권한 외에 교섭한 결과에 따라 단체협약을 체결할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1996. 12. 26. 선고 96헌가18 전원재판부
가. 헌법재판소는 위헌법률심판절차에 있어서 규범의 위헌성을 【제청법원】이나 【제청신청인】이 주장하는 법적 관점에서만 아니라 심판대상규범의 법적 효과를 고려하여 모든 헌법적 관점에서 심사한다. 법원의 위헌제청을 통하여 제한되는 것은 오로지 심판의 대상인 법률조항이지 위헌심사의 기준이 아니다.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교섭창구 단일화 체계 하에서 소수노조가 갖는 단체교섭권의 범위
노동법포럼
2016 .07
복수노조 하에서의 교섭창구단일화제도 - 교섭창구단일화제도에 대한 해석론을 중심으로
노동법포럼
2011 .10
공무원 단체교섭의 특징과 쟁점 : 복수노조하의 단체교섭을 중심으로
노동법연구
2008 .12
교섭창구단일화제도의 쟁점과 문제점
노동법학
2012 .09
교섭창구단일화제도의 쟁점 : 영국, 캐나다, 미국의 시사점과 다수교섭대표제도를 중심으로
노동법연구
2004 .12
교섭창구 단일화 제도의 시행에 따른 쟁점 및 그에 대한 합리적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고려법학
2013 .01
복수노조의 교섭창구 단일화 제도에 관한 연구
한양법학
2015 .08
복수노조 하에서의 단체교섭과 단체협약체결의 법적 체계 검토 : 교섭창구단일화 관련 논의평가 및 쟁점정리를 중심으로
노동법연구
2005 .12
간접고용과 교섭창구단일화 절차 - 사업 또는 사업장 교섭단위의 적용을 중심으로 -
노동법학
2020 .03
복수노조 교섭창구단일화 제도의 주요 쟁점
아주법학
2010 .01
교섭창구단일화 제도의 위헌성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
2015 .12
복수노조·교섭창구 단일화 개정 내용의 평가
노동법포럼
2010 .10
노동조합의 조직형태와 교섭창구 단일화
노동법논총
2015 .12
미국의 배타적 교섭대표제와 한국적 함의
산업관계연구
2005 .12
복수노동조합 하의 교섭창구단일화 관련 법적쟁점
노동법논총
2007 .12
교섭창구단일화와 관련한 법률적 쟁점
노동법연구
2005 .06
‘자율교섭’과 ‘교섭단위분리’에 관한 법적 쟁점
노동법학
2012 .03
‘2018 행정부교섭’의 법적·실무상 쟁점 - 교섭창구 단일화, 지부교섭 위임, 절차합의서 등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
2019 .09
노동기본권과 소수 노동조합의 협약능력 및 단체협약의 효력에 관한 연구 : 단체교섭창구 단일화를 중심으로
노동법학
2011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