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한국 지도의 고전(古典), 대동여지도
2. 우리나라 최대의 전국지도
3. 경위선표식 축척지도
4. 내용이 풍부하고 지도학적으로 우수한 지도
5. 인쇄본 지도-지도의 보급과 대중화
6. 휴대용 절첩식 지도
7. 동양식 전통지도의 집대성, 금자탑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대동여지도』 연구의 쟁점과 과제
한국과학사학회지
2006 .01
근대 신화의 역설 : 고산자 김정호와 대동여지도의 경우
역사비평
2018 .05
고조선 시기 탈춤문화의 형성과 연행예술의 수준
비교민속학
2009 .12
신시고국 환웅족 문화의 ‘해’ 상징과 천신신앙의 지속성
고조선단군학
2010 .11
국사교과서고대사 개편 방향
고조선단군학
2014 .06
‘고조선’조와 ‘전조선기’로 본 고조선의 역사적 실체 재인식
고조선단군학
2012 .05
민속학의 생활사료 인식과 역사학의 통섭
한국민속학
2015 .05
통섭과 융합의 학문으로서 구비문학 연구의 실천
실천민속학연구
2017 .02
춘추전국시대 안료 기반과 안료 산출지
고조선단군학
2012 .05
고조선문명 형성에 들어간 貊족의 紅山문화의 특징
고조선단군학
2015 .06
단군신화에 갈무리된 문화적 원형과 민족문화의 정체성
고조선단군학
2007 .06
箕子朝鮮說의 사회학적 검증과 ‘犯禁8條’의 실체
고조선단군학
2013 .12
유용미생물을 활용한 음식물쓰레기의 악취저감 효과
대한환경공학회지
2016 .04
홍산문화 女神廟에 나타난 ‘삼원오행’형 ‘마고7여신’과 ‘마고 제천’
비교민속학
2016 .08
동아시아 ‘北斗-日月’ 표상의 원형 연구
비교민속학
2011 .12
신시고국의 농경문화 성립과 홍산문화 유산의 전통
고조선단군학
2015 .06
홍산문화로 읽는 고조선 시대의 제천의식 전통
고조선단군학
2014 .06
고조선본풀이와 ‘게세르’의 문화적 이질성과 한몽관계의 접점
비교민속학
2012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