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단군신화와 민족문화의 유기적 인식
Ⅱ. 단군신화의 식문화 원형과 채식문화의 전통
Ⅲ. 단군신화의 주거 규범과 정착생활의 주거문화
Ⅳ. 정착형 농경문화가 빚어낸 민족문화의 정체성
Ⅴ. 단군신화의 현실적 기능과 문화 창조력
Ⅵ. 역사인식의 성찰과 민족문화 기원론의 재인식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교과서에 서술된 ‘단군과 고조선’에 관한 고찰 : 문학교과서(7차 교육과정)를 중심으로
고조선단군학
2007 .06
단군 : 역사와 신화, 그리고 민족
역사비평
2016 .11
단순신화의 단군 왕검의 고의 (古義) 연구
한국기독교신학논총
2000 .06
[특집-단군신화연구] 그 신비한 춤: 단군신화에 나타난 성 상징주의
고조선단군학
2002 .06
교과서에서의 ‘단군 사화(史話)’ 수용 고찰
고조선단군학
2008 .11
고대 중동과 구약 신화의 관점에서 본 단군 신화의 해석
고조선단군학
2006 .06
북한의 단군신화 인식에 대한 연구 : 문화적 관점을 중심으로
고조선단군학
2005 .12
일제시기 단군을 둘러싼 한일간의 공방
韓國史學史學報
2010 .01
단군학과 한국정치학 : 근대 정치사상을 중심으로
고조선단군학
2005 .12
최근의 단군관련 인식혼란과 과제
고조선단군학
2002 .12
단군신화와 서양신화의 비교연구 : 여성학적 해석을 중심으로
종교문화연구
2002 .10
[특집-단군신화연구] 壇君神話와 고구려 建國神話가 지닌 正體性(IDENTITY) 탐구
고조선단군학
2002 .06
‘단군’을 소재(素材)로 한 소설 고찰 : 새로운 스토리텔링(storytelling) 모색을 중심으로
고조선단군학
2006 .12
맥락적 해석에 의한 김알지 신화와 신라문화의 정체성 재인식
비교민속학
2007 .02
한국신화의 주체적 인식과 민족문화의 정체성
고조선단군학
2007 .12
남과 북의 단군인식과 단군숭앙
고조선단군학
2005 .06
Teaching Korean Culture through Korean Studies : Creating Myths to Live By
Korea Journal
1996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