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들어가면서: 그 신비한 춤
Ⅱ.신화의 성학적 해석학
Ⅲ.천부지모의 사랑. 구름과 비. 그리고 생명
Ⅳ.최초의 갈망: 웅녀의 에로스
Ⅴ.단군신화와 성의 합일성
Ⅵ.마치면서: 다시 그 신비한 춤으로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단군 : 역사와 신화, 그리고 민족
역사비평
2016 .11
교과서에 서술된 ‘단군과 고조선’에 관한 고찰 : 문학교과서(7차 교육과정)를 중심으로
고조선단군학
2007 .06
단순신화의 단군 왕검의 고의 (古義) 연구
한국기독교신학논총
2000 .06
고대 중동과 구약 신화의 관점에서 본 단군 신화의 해석
고조선단군학
2006 .06
교과서에서의 ‘단군 사화(史話)’ 수용 고찰
고조선단군학
2008 .11
북한의 단군신화 인식에 대한 연구 : 문화적 관점을 중심으로
고조선단군학
2005 .12
일제시기 단군을 둘러싼 한일간의 공방
韓國史學史學報
2010 .01
최근의 단군관련 인식혼란과 과제
고조선단군학
2002 .12
단군신화와 서양신화의 비교연구 : 여성학적 해석을 중심으로
종교문화연구
2002 .10
단군학과 한국정치학 : 근대 정치사상을 중심으로
고조선단군학
2005 .12
남과 북의 단군인식과 단군숭앙
고조선단군학
2005 .06
식민지시대의 한국 신화의 위상
비평문학
2009 .03
'단군민족주의'의 前史
고조선단군학
2003 .06
북한의 단군민족주의에 대한 검토
고조선단군학
2019 .06
『三國遺事』 所載 단군 神話의 原典에 關한 한 가지 疑問
漢文敎育論集
2004 .01
‘단군’을 소재(素材)로 한 소설 고찰 : 새로운 스토리텔링(storytelling) 모색을 중심으로
고조선단군학
2006 .12
단군신화와 한국문학과의 관계 양상 : 고소설과 현대문학의 수용을 중심으로
비교민속학
2000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