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전파주의적 유목문화 전래설의 비판
2. 전파론 극복의 문화생태학과 신비교주의
3. 문화주권과 함께 가는 학문주권의 회복
4. 문헌사료로 본 신시의 농경문화와 정착생활
5. 중국사료에 기록된 동이족의 농경문화 전통
6. 고고학 유물에서 확인되는 농경문화의 역사
7. 홍산문화 지역의 발굴유물과 농경문화 유산
8. 중국사의 정통에서 벗어난 홍산고국의 발명
9. 신시고국 문화유산으로서 홍산문화의 포착
10. 홍산문화 옥기의 상징과 신시고국의 세계관
11. 단군조선 이전의 신시고국 정체성 재인식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복식과 제의로 본 고조선문명과 홍산문화
고조선단군학
2015 .06
1970∼1980년대 ‘민족문화’ 개념의 분화와 쟁투
개념과 소통
2016 .12
러시아 고고학계의 홍산문화(紅山文化)와 동북아시아 신석기 연구
인문학연구
2016 .01
문화는 어떻게 몸에 새겨지는가?
인물과사상
2017 .07
문화로의 전환과 '정치주의' 문화전략 -1920년-1925년 사이의 동아일보를 중심으로-
서양사론
2020 .01
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화 교육 내용 연구
아시아문화연구
2023 .08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영어 교과서의 문화 내용 분석
언어과학연구
2020 .09
통일문화의 세 가지 키워드 : 분단문화, 헤테로토피아, 문화-정치
시대와 철학
2017 .06
네팔 문화변화에 따른 선교적 대응
복음과 선교
2021 .09
프로젝트 학습법을 활용한 <바리공주>의 한국문화교육-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韓國古典硏究
2018 .01
우하량 유적을 통해 본 홍산문화의 제사체계 형성과 변화
동북아역사논총
2020 .09
구약성서 관점에서 본 문화의 생성과 발전 : 창 4:17-26 을 중심으로
Canon&Culture
2016 .10
차문화를 활용한 OSMU(One Source Multi Use) 사례 연구
차문화산업학
2015 .12
『문화/과학』과 문화연구와 나
문화과학
2022 .06
문화문식력 향상을 위한 문화코드 연구
동악어문학
2020 .10
지역공간체험을 통한 의사소통향상 방안 : 과제(task) 수행을 중심으로
인문학논총
2018 .02
진화론적 관점으로 본 문화콘텐츠의 발생
인문콘텐츠
2018 .09
초등 KSL 교재 『표준 한국어』의 문화 내용 분석
국어교육연구
2019 .06
중국 ‘동서문화 논쟁’이 근대불교에 미친 영향
한국불교학
2024 .05
공공재로서 문화와 문화공공성의 가치 재고
인문콘텐츠
2018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