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구경연 (계명대학교)
저널정보
언어과학회 언어과학연구 언어과학연구 제94집
발행연도
2020.9
수록면
231 - 259 (29page)
DOI
10.21296/jls.2020.9.94.231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study aimed at exploring how culture education is implemented in middle school English classes by analyzing 15 textbooks focusing on culture type, culture background and culture lesson activities. The results show that first, the middle school textbooks include the three culture types at a balanced ratio, but the portion of material culture decreases and that of spiritual culture increases as the grade goes up. Second, the textbooks mostly deal with general culture and prefer to present multiple cultures rather than a single culture, which is either Korean or Englishspeaking culture. The study also finds that the textbooks present visual materials, including photos and pictures in each chapter, to develop students’ ability to understand culture but provide relatively few experiential activities and communication activities. At last,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guidelines for improvement for better culture education in middle school English classe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given.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및 논의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참고문헌 (35)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0-700-001282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