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이동기 (강릉원주대)
저널정보
역사비평사 역사비평 역사비평 2015년 여름 호(통권 111호)
발행연도
2015.5
수록면
260 - 292 (34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new studies of Cold War history in Germany have continued to evolve over the last two decades. They have not confined itself to the narrow discussion on the German policy of Soviet Union in the early years of the Cold War. They have extended, to a greater degree, to the perspective of Cold War Studies which takes a look into the European context and global interdependence. The German exponents of the recent trends of historical research on the Cold War as Wilfried Loth, Bernd Stover, the Manheim project "Ostpolitik and CSCE in Europe" and the Cold War project of the Hamburg Institute for Social Research have freed themselves form both the ideological historiography and the nation-centered Cold War Studies.
In particular the Hamburg Cold War project, leaded by Bernd Greiner, has attempted to overcome the Euro-centric narrative of the Cold War and to develop new topics, methods and paths for the Cold War history. Under its various study results, the perception into the fear which Loth has also paid great attention to, has attracted attention. For the innovative research of the Cold War one should more try to understand the function and effect of the hostile image of enemy in the social culture and every day life. The elucidation of the wider interdependence of the Cold War as global epoche and the insight into its social cultural depths could provide the foundation of the historical perspective and political consideration for a post-Cold War and post-division society in Korea.

목차

1. 베를린: ‘냉전의 수도’에서 냉전사의 중심으로
2. 독일 역사학계의 초기 냉전인식: 전체주의론 관점의 지배
3. 독일 냉전사 연구의 영구 쟁점: 소련의 전후 독일 정책
4. 냉전사 서술의 발전: 로트와 슈퇴버
5. 더 새로운 관점과 조류들
6. 맺는말
Abstract

참고문헌 (73)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6-905-0016104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