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1930년대 전반 ‘고대사회’ 이론의 수용과 확산
Ⅲ. 고대사 연구방법론의 모색과 사회발전단계설
Ⅳ. ‘보편’에 대한 인식 차이와 조선학 방법론의 경합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文?≫文????中?文??源
중국어문학
2020 .01
『三國遺事』 「古朝鮮 條」 기록에서 ‘古’의 의미와 그 시간적 범위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2021 .10
삼한시기 논쟁의 맥락과 접점
한국고대사연구
2017 .09
[고대] 새로운 모색과 과제 : 서양고대사 2015~2016
역사학보
2017 .09
中國과 臺灣의 한문원전 정보화와 코퍼스 구축 현황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2019 .01
연극의 기원에 관한 재론 - 제의기원론을 중심으로 -
세계문학비교연구
2020 .12
[고대사] 세상과 소통을 추구하다: 2017-8 서양고대사 연구 동향
역사학보
2019 .09
한자 ‘內’의 고대 한국한자음 재구
언어학
2019 .08
일본 고대 도래계 관인의 훙졸전(薨卒傳)기사 연구-『속일본기(續日本紀)』~『일본삼대실록(日本三代實錄)』을 중심으로-
史叢(사총)
2019 .01
中国的世界遗产及其与古都的关系
마한백제문화
2018 .01
고도(古都)지구 현상변경시 문제점과 대안 - 익산 고도지정 지구를 중심으로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2021 .05
한국고대사의 대중화와 대중문화화
한국고대사연구
2016 .12
한국인 기원에 관한 최신 연구성과와 전망 - 북방기원설을 중심으로
유라시아문화
2025 .02
고대 중국 문자에서 본 중국인의 의사와 의료기술에 대한 탐구
한중언어문화연구
2023 .05
[고대] 고대사학에서 고대학으로
역사학보
2021 .09
[고대] 서양고대사 회고와 전망(2021~2022) - ‘지평의 확장’
역사학보
2023 .09
漢字文化學을 통하여 본 漢字 字形의 의미 고찰
중국문화연구
2017 .02
나의 한국고대사 연구와 삶
한국고대사연구
2019 .06
The Contemporary Origins of Korean Dynamism
Journal of Contemporary Korean Studies
2016 .08
한국 고대사 연구의 미래를 위하여
역사와현실
2021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