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Ⅰ. 들어가며
Ⅱ. 선거표현과 선거운동의 함의
Ⅲ. 선거운동의 규제와 자유
Ⅳ. 선거운동의 다층적 규제론 검토
Ⅴ. 맺으며
참고문헌
〈Abstract〉
헌법재판소 2010. 2. 25. 선고 2008헌마324,2009헌바31(병합) 전원재판부
가. 관계법령의 규정 내용이 구체적으로 인터넷언론사의 범위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고 독립된 헌법기관인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설치·운영하는 인터넷선거보도심의위원회가 이를 결정·게시하는 이상, 해당 인터넷언론사가 자신이 실명확인 확인 조치의무를 지는지 여부에 관하여 확신이 없는 상태에 빠지는 경우를 상정할 수 없고, `지지·반대의 글’은 건전한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11. 12. 29. 선고 2007헌마1001,2010헌바88,2010헌마173,191(병합) 전원재판부
인터넷은 누구나 손쉽게 접근 가능한 매체이고, 이를 이용하는 비용이 거의 발생하지 아니하거나 또는 적어도 상대적으로 매우 저렴하여 선거운동비용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는 정치공간으로 평가받고 있고, 오히려 매체의 특성 자체가 `기회의 균형성·투명성·저비용성의 제고’라는 공직선거법의 목적에 부합하는 것이라고도 볼 수 있는 점, 후보자에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12. 8. 23. 선고 2010헌마47,252(병합) 전원재판부
이 사건 법령조항들이 표방하는 건전한 인터넷 문화의 조성 등 입법목적은, 인터넷 주소 등의 추적 및 확인, 당해 정보의 삭제·임시조치, 손해배상, 형사처벌 등 인터넷 이용자의 표현의 자유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제약하지 않는 다른 수단에 의해서도 충분히 달성할 수 있음에도, 인터넷의 특성을 고려하지 아니한 채 본인확인제의 적용범위를 광범위하게 정하여 법집행자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10. 12. 28. 선고 2008헌바157,2009헌바88(병합) 전원재판부
이 사건 법률조항은 표현의 자유에 대한 제한입법이며, 동시에 형벌조항에 해당하므로, 엄격한 의미의 명확성원칙이 적용된다. 그런데 이 사건 법률조항은 “공익을 해할 목적”의 허위의 통신을 금지하는바, 여기서의 “공익”은 형벌조항의 구성요건으로서 구체적인 표지를 정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헌법상 기본권 제한에 필요한 최소한의 요건 또는 헌법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15. 7. 30. 선고 2012헌마734, 2013헌바338(병합) 결정
1.관계법령의 규정 내용이 구체적으로 `인터넷언론사’의 범위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고, 독립된 헌법기관인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설치·운영하는 인터넷선거보도심의위원회가 이를 결정·게시하는 이상, 해당 인터넷언론사가 자신이 실명확인 조치의무를 지는지 여부에 관하여 확신이 없는 상태에 빠지는 경우를 상정할 수 없고, `지지·반대’의 정보는 건전한 상식과 통상적인 법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국선거의 선거운동 자유 증대를 위한 입법제도에 관한 연구
입법과 정책
2015 .01
일본에서의 선거운동의 규제에 관한 고찰
비교법연구
2019 .01
한국에서의 유권자 선거운동 규제의 도입과 전개 ― 1958년 ‘협상선거법’과 1994년 ‘통합선거법’의 주체 및 행위규제를 중심으로 ―
공법연구
2022 .06
선거운동의 자유의 보장체계에 관한 소고 : 헌법적 근거와 보호영역을 중심으로
공법학연구
2018 .05
선거운동의 주체에 대한 소고 - 언론인과 대통령 당선인을 중심으로 -
법과 정책연구
2022 .09
코로나 시대 공정한 선거를 위한 자유로운 선거운동 방안모색
유럽헌법연구
2021 .12
선거와 선거관리에 대한 유권자 의식 분석 : 제19대 대통령 선거를 중심으로
연구방법논총
2017 .11
일본과 영국에서 일반 유권자가 하는 선거운동에 대한 규제 도입의 입법사적 고찰 – 1950년대 초반까지의 논의를 중심으로 –
헌법학연구
2020 .01
선거운동 규제의 개선방안에 관한 몇 가지 고찰 - 자유의 확대와 개방적 경쟁의 관점에서 -
헌법학연구
2016 .01
선거운동의 자유와 헌법 제116조 제1항
외법논집
2018 .01
선거공영제 관련 규정의 형성과 전개 – 선거운동 방법에 관한 일본과 한국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
헌법학연구
2024 .09
선거운동의 자유와 공직선거법 개정 방안: 시민단체의 선거법 위반 사례를 중심으로
비교민주주의연구
2018 .12
코로나19 보건위기 상황에서 선거의 공정성과 선거권 보장
유럽헌법연구
2021 .12
제3자 선거운동의 규제현황과 시사점: 영국과 캐나다의 비용규제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022 .08
선거의 자유와 공정성 원칙에서 본 학교 선거교육-모의선거교육에 대한 교육주체간의 관점을 통해-
법과인권교육연구
2021 .12
공직선거법과 선거운동의 자유에 관한 공법적 고찰
고려법학
2016 .01
탈법행위에 의한 선거 관련 표현행위금지규정에 관한 연구- 공직선거법 제93조 제1항의 입법연혁, 관련 판례의동향 및 심사기준의 문제를 중심으로 -
헌법재판연구
2016 .06
선거운동의 자유와 제한에 관한 형사법적 고찰
법학논집
2020 .01
선거의 공정성에 관한 한 고찰 : 규범의 인식과 실천이라는 관점에서
언론과법
2016 .08
선거운동의 자유와 규제에 관한 소고 — 확성장치 사용 선거운동 규제 문제를 중심으로 —
법학논총
2024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