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1. 머리말
2. 길이와 배열의 체계에 관하여
3. 시간과 공간의 압축에 관하여
4. 인물의 특성과 조건에 관하여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장진의 희곡 「웰컴 투 동막골」의 선동적 사건과 액자구성
어문론집
2018 .03
분단희곡 <침향>의 선동적 사건과 장소성
통일인문학
2017 .09
吳泰錫 戱曲의 煽動的 事件과 劇的 特性 - 6‧25 3部作 「산수유」, 「자전거」, 「운상각」을 中心으로 -
어문연구(語文硏究)
2017 .01
박종화에 있어서의 아리시마 다케오(有島武郎)의 수용 양상 : 「An incident」 와 「시인」을 중심으로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16 .04
공해(公害)사건 문학의 시스템 및 가치 고찰 – 일본의 공해사건과 문학을 중심으로 –
일본연구
2017 .01
전시공간들에 재현된 여순사건의 기억과 활용
지방사와 지방문화
2017 .05
선동꾼 아니면 사기꾼
제3시대
2020 .03
현행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제주 4・3 사건 서술 내용과 향후 집필 방향
탐라문화
2018 .01
여순사건 참가계층의 제유형
남도문화연구
2015 .06
동백림 사건의 쟁점과 역사적 위치
역사비평
2017 .05
여순사건 연구의 현황과 쟁점, 그리고 과제
남도문화연구
2021 .01
1862년 농민항쟁의 발발지역 검토
역사연구
2021 .09
대한기독교회(현 기독교한국침례회)의 우태호 사건 재평가
한국교회사학회지
2020 .01
영화 시나리오 작법에서 관객과 소통할 수 있는 플롯에 대한 연구
구보학보
2020 .01
1차인민혁명당사건과 도예종의 활동
대구사학
2018 .01
기형도 시의 플롯 구조와 리듬의 연관성 연구
비평문학
2019 .03
‘망각(忘却)’과 ‘비등(沸騰)’의 공존 - ‘여순 10⋅19사건’ 이후 전남 동부 지역민들의 ‘기억투쟁’ 고찰
탐라문화
2023 .03
살림과 연대의 극적 상상력 : 배봉기 희곡 〈물의 노래〉에 나타난 관동대지진 조선인 학살사건을 중심으로
통일인문학
2024 .06
8.18 판문점 사건, 계획된 도발인가, 우발적 사건인가?
인문학연구
2021 .06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에서 보편으로서의 플롯과 예기치 않음
철학
2020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