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어문연구(語文硏究) 어문연구(語文硏究) 제45권 제1호
발행연도
2017.1
수록면
215 - 240 (26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글의 목적은 煽動的 事件을 활용하여 吳泰錫 戱曲 중에서 6‧25 3部作(「산수유」, 「자전거」, 「운상각」)의 劇的 特性을 밝히는 데 있다. 煽動的 事件은 ‘이야기 안의 사건들’의 조직 과정에 있어 時間과 空間, 人物, 그리고 配列의 층위에서 하나의 고정점의 역할을 한다. 또한 한 作品의 紛糾와 解決의 조직 과정에 있어 시작과 종결의 世界狀態의 조건을 결정하는 고정점의 역할을 한다. 煽動的 事件을 활용하여 吳泰錫 戱曲을 분석한 결과, 「산수유」의 경우에는 상수의 아버지의 죽음에 얽힌 진실이 밝혀지는 과정이, 「자전거」의 경우에는 등기소 放火 事件의 진실이 밝혀지는 과정이, 그리고 「운상각」의 경우에는 부재하는 남편에 대한 기다림의 과정이 각각 드라마의 핵심적인 內容을 이루고 있다. 또한 ‘이야기 바깥의 사건들’에 속하는 煽動的 事件은 紛糾의 핵심적인 內容을 구성하며, 플롯의 제작적 과정에 결정적인 역할을 함으로써 ‘이야기 안의 사건들’을 특정한 조건 속에서 解決에 이르도록 한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23)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