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초록】
Ⅰ. 서론
Ⅱ. 연성규범의 의의 및 역할
Ⅲ. 연성규범의 주요쟁점 및 한계
Ⅳ. 연성규범 제정시 고려해야 할 사항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헌법재판소 1991. 2. 11. 선고 90헌가27 全員裁判部
가. 헌법상(憲法上) 초등교육(初等敎育)에 대한 의무교육(義務敎育)과는 달리 중등교육(中等敎育)의 단계에 있어서는 어느 범위에서 어떠한 절차를 거쳐 어느 시점에서 의무교육(義務敎育)으로 실시할 것인가는 입법자(立法者)의 형성(形成)의 자유(自由)에 속하는 사항으로서 국회(國會)가 입법정책적(立法政策的)으로 판단하여 법률(法律)로 구체적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1991. 7. 8. 선고 91헌가4 전원재판부〔위헌〕
1. 죄형법정주의(罪刑法定主義)는 이미 제정된 정의(正義)로운 법률(法律)에 의하지 아니하고는 처벌(處罰)되지 아니한다는 원칙으로서 이는 무엇이 처벌(處罰)될 행위인가를 국민이 예측가능(豫測可能)한 형식으로 정하도록하여 개인(個人)의 법적안정성(法的安定性)을 보호하고 성문(成文)의 형벌법규(刑罰法規)에 의한 실정법질서(實定法秩序)를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1990. 4. 2. 선고 89헌가113 전원재판부〔합헌〕
1. 위헌법률심판(違憲法律審判)의 대상(對象)에 있어서 법문(法文)의 내용(內容)이 다의적(多義的)이고 그 적용범위(適用範圍)에 있어서 과도한 광범성(廣範性)이 인정된다면 법치주의(法治主義)와 죄형법정주의(罪刑法定主義)에 위배(違背)되어 위헌(違憲)의 소지(素地)가 있다.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신흥기술규제를 위한 연성규범의 역할 ― 유럽연합의 나노물질 규제를 중심으로 ―
환경법연구
2022 .11
연성규범의 쟁점과 과제 ― 공법적 통제의 문제를 중심으로 ―
법학연구
2022 .03
규범의 일반이론
[KIIP] 한국지식재산연구원 도서DB
2016 .12
연성규범(Soft Law)을 통한 기업지배구조의 개선 : 기업지배구조 모범규준(Corporate Governance Code)의 개선 및 ‘준수 또는 설명(Comply or Explain) 원칙’의 도입방안을 중심으로
증권법연구
2017 .08
동아시아의 “또 다른” 법치주의의 양상 -중국 법치주의의 연성적 요소들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동북아법연구
2024 .05
유럽 지역의 ‘기업과 인권’ 규범 형성에 대한 연구: 중층성에 기반한 효율적 혼합을 중심으로
유럽연구
2022 .08
상장공기업의 기업지배구조보고서 공시 현황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재무와 회계정보저널
2024 .09
기업지배구조 개선을 위한 공시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연성규범과 CoE를 중심으로
은행법연구
2020 .01
켈젠의 법이론에 있어서 규범과 가치 -규범과 가치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법철학연구
2015 .12
규범과 환경행동
한국환경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20 .07
국제거래에 있어서 ‘Soft Law’의 의의와 역할
법학연구
2018 .12
Comply or Explain 방식 연성규범 공시의 평가를 위한 개념체계
기업경영리뷰
2022 .02
인공지능과 규범의 형성
산업재산권
2022 .12
헌법규범과 현실
[KIIP] 한국지식재산연구원 도서DB
2019 .12
중학교 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규범과 사회정서학습 시행의도의 관계에서 개인적 규범의 매개효과
인문사회 21
2019 .01
소셜미디어에서의 직·간접적 탈규범 경험이 청소년의 사회 규범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2019 .08
Analysis of International Regulations on Artificial Intelligence(AI) Ethics – a Comparative Approach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 Commerce
2023 .11
행정규제에 있어서 사인의 규범정립에 관한 연구
행정법연구
2016 .02
The legal inspection of a collaborative governance system for 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with soft law and hard law cooperation in China
법과정책
2024 .08
국제인권 규범과 한국
계간 외교
2021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