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탈진실의 시대, 동시대적 부인의 도전
Ⅱ. 이행기 정의와 부인의 정치학
Ⅲ. 『제국의 위안부』를 통해 본 부인의 정치학
Ⅳ. 인식론적 난맥상: 판결 그 이후
Ⅴ. 토론 및 전망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일본군‘위안부’ 문제의 강제동원과 성노예 - 공창제 정쟁과 역사적 상상력의 빈곤
페미니즘 연구
2019 .10
외상의 질곡에서 그녀들은 어떻게 성장해 왔는가? : 일본군 ‘위안부’ 피해 여성 노인의 삶의 경험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23 .02
일본군 ‘위안부’ 영화의 자매애와 증언전수 가능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7 .08
문화적 외상의 극복과 기억의 윤리 - 이해성의 “빨간시”를 중심으로 -
문화와융합
2023 .12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페미니즘과 내셔널리즘의 역학관계 - 트랜스내셔널 페미니즘의 구축과 한일 여성연대 가능성
아시아여성연구
2020 .04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국제협력
문화와융합
2024 .07
일본군 ‘위안부’운동과 시인(recognition)의 정치 : 한국의 사회적 기억 공간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2018 .09
동북아시아의 일본군 ‘위안부’ 역사인식과 예술적 표현방법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2016 .06
경남지역 일본군‘위안부’ 운동과 기억의 연대
한국여성학
2022 .12
증언문학에서의 서사적 재현과 환상의 역능 - 일본군 ‘위안부’ 소설을 중심으로 -
문화와융합
2022 .10
한국의 〈평화의 소녀상〉과 탈진실(post-truth)의 정치학 : 일본의 식민주의/남성중심적인 내셔널리즘과 젠더를 검토한다
한국여성학
2017 .09
만주 지역의 일본군 위안소 설치와 조선인 ‘위안부’
아시아여성연구
2016 .05
일본군‘위안부’의 포스트 콜로니얼 (post-colonial) 경험: 서발턴(subaltern) 여성과 일상 속의 트라우마
젠더와 문화
2022 .12
호주 한인들의 ‘소녀상’ 건립과 일본군 ‘위안부’운동 : ‘코스모폴리탄’ 기억형성과 한인의 초국적 민족주의 발현
페미니즘 연구
2018 .04
위안부 관련 역사자료 아카이빙을 위한 가상 갤러리 아이디어 연구 및 개발 : Voice of ‘Comfort Women’ Museum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2022 .02
일본군‘위안부’ 운동 다시 쓰기: 대구경북 지역여성운동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2025 .03
김학순 공개증언과 일본의 시민운동: 말하는 자와 듣는 자가 만들어낸 파장(波長)
젠더와 문화
2022 .06
경남일본군‘위안부’ 피해자지원활동가들의 기억과 구술을 통해 본 피해자들의 내면과 사회적 관계
젠더와 문화
2022 .12
‘위안부’ 문제를 읽는 세 가지 코드: 식민주의, 전쟁, 군사주의 : 송연옥·김귀옥 외 『식민주의, 전쟁, 군 ‘위안부’』, 선인, 2017
한국여성학
2017 .09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연극적 재현과 ‘포스트-기억 세대’의 시선 : 김민정 희곡 <하나코>를 중심으로
문화와융합
2020 .1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