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크업 앱은 얼굴의 각 부분에 수많은 화장품을 적용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스마트폰의 기계적 환경과 화면의 크기라는 물리적 환경을 극복해야 한다. 즉 원활한 매핑 및 증강현실의 적용과 복잡한 메이크업 단계의 적용을 위한 효과적 상호작용을 만족하는 앱이 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메이크업 앱을 실시간 화면에서 메이크업을 구현하는 앱으로 정의하고 이에 부합하는 앱 중 화장품 회사의 전용앱으로서 로레알의 메이크업 지니어스(Makeup Genius), 라네즈의 뷰티미러(Beauty Mirror), 상용앱으로서 유캠 메이크업(YouCam Makeup)을 분석의 대상으로 하여 원활한 매핑과 증강현실의 적용 및 인터페이스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기준은 앱 사용방법의 직관적 이해, 메이크업 도구의 다양성, 메이크업 도구의 선택 특징, 정확한 얼굴인식, 움직임 시 메이크업 반영, 자연스러운 메이크업 반영, 복합적인 메이크업 과정 적용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메이크업 지니어스(Makeup Genius)는 눈화장 도구와 입술화장 도구를 한정적으로 제공하고, 도구 선택을 전체화면으로 보여주며, 적용한 도구가 모두 장바구니에 담기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서 효과적인 메이크업 구현에는 한계가 나타났다. 뷰티미러는 얼굴전체, 눈, 입술의 세 가지 영역의 화장품을 경험해 볼 수 있고, 도구 적용 시 다른 도구 선택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있었다. 유캠 메이크업은 7개 회사의 화장품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다양한 메이크업 경험을 할 수 있으며, 화장품 회사에서 제공하는 제품뿐만 아니라 속눈썹 등의 부착도 경험할 수 있게 함으로서 가장 효과적인 메이크업을 경험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향후 메이크업 앱은 보다 정교한 얼굴의 부위인식 및 빠른 증강현실의 적용이라는 기술적 과제가 요구되며, 인터페이스는 다수의 화장품을 효과적으로 선택하고 적용된 메이크업을 용이하게 수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의 개선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메이크업 앱 개선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 Makeup application applys variety of cosmetics to each part of the face. Because of this, physical limitations of the smart phones and physical environment which the size of the screen must be overcome. The application should satisfy effective interactions for smooth mapping, application of augmented reality and complex makeup steps. Therefore, this study defined make-up application that implements make-up on real-time screen, and as a special application of cosmetics company matching the application, choose three applications; L`Oreal`s Makeup Genius, Laneige`s Beauty Mirror and YouCam Makeup as commercial application examples and analyzed the mapping, the application of Augmented Reality and interface features. The study analyzed the intuitive understanding of using the application, the variety of tools, the features of the tool selection, the accurated face recognition, the reflection on the movement, the natural reflection, and the application of the complex makeup process. Analysis result showed that Makeup Genius provided limited range of eye makeup tools and lip makeup tools, showed the tool selection in full screen, and provided the interface to put all of the applied tools in the shopping cart. The Beauty Mirror had been able to emulate experience cosmetics in three areas: full face, eyes, and lips, and provided an interface that allowed smooth selection of other tools when applying those tools. YouCam Makeup had most variety of make-up experience because in it, user could choose seven different cosmetics companies. It could made the most effective make-up experience by allowing users to experience not only the products provided by the cosmetics company also the attachment of the eyelashes. Through these studies, makeup application required more sophisticated facial recognition and faster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further, the interface of application is able to seen to require an improvement to effectively select multiple cosmetics and easily modify the applied makeup. this study is able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further makeup application improv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