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왕위안쉐 (동서대학교) 이현석 (동서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애니메이션학회 애니메이션연구 애니메이션연구 제13권 제4호(통권 제44호)
발행연도
2017.12
수록면
141 - 158 (18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양선(梁旋), 장춘(張春) 감독이 제작한 애니메이션 〈대어해당(大魚海棠)〉(2016)은 중국 역대 흥행 6위를 기록하며, 중국 전통사상과 문화를 주제로 한 애니메이션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특히, 장자의 대표사상인 『장자』 「소요유(逍遙遊)」 내편(內篇)의 곤붕변화론(鯤鵬變化論)과 중국 고대 신화집 『산해경(山海經)』을 현대적으로 각색하여, 화려한 영상예술을 구현함과 함께 대중오락성에 부합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하겠다. 이에 본 연구는 소요유 사상과 『산해경』 속 요괴이미지가 어떻게 〈대어해당〉의 서사와 캐릭터 디자인을 통해 현대적으로 변용되었는지 그 특성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의 전개는 첫째, 장자의 「소요유」 내편의 곤붕변화론에 대한 내용과 그 함의를 고찰한다. 둘째, 중국 신화의 역사적 기원과 요괴 이미지의 구현 원리에 대해 산해경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셋째, 앞선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소요유 사상의 핵심인 대(大)와 변화(化), 그리고 ‘제시’·‘적용’·‘실현’의 세 단계 내용구성, 그리고 『산해경』 속 신화 이미지를 바탕으로 한 캐릭터의 재구성을 기준으로 〈대어해당〉에 대한 사례분석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대어해당〉은 중국 전통사상인 소요유 사상의 곤붕변화론이 세 단계 서사구성, 생명의 순환과 변화로 각색·해석되어 구현되고 있으며, 신화 속 원형 이미지는 인간 형상에 가까운 신과 요괴 캐릭터로 재창작되어 서사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보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관련 연구와 애니메이션 제작에 참고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목차

1. 서론
2. 「소요유」의 곤붕변화론과 『산해경』에 대한 이론적 고찰
3. 사례연구: 애니메이션 〈대어해당〉
4.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18)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