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요약
Ⅰ. 서론
Ⅱ. 문제의 소재
Ⅲ. 종래의 판례와 학설
Ⅳ. 비교법적 고찰
Ⅴ. 검토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대법원 2017. 6. 22. 선고 2014다225809 전원합의체 판결
[1] 특정 소송사건에서 한쪽 당사자를 보조하기 위하여 보조참가를 하려면 소송의 결과에 대하여 이해관계가 있어야 한다. 여기서 이해관계란 사실상·경제상 또는 감정상의 이해관계가 아니라 법률상의 이해관계를 말하는 것으로, 그 소송의 판결의 기판력이나 집행력을 당연히 받는 경우 또는 적어도 그 판결을 전제로 하여 보조참가를 하려는 자의 법률상 지위가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7. 9. 6. 선고 2005다38263 판결
[1] 계약의 당사자들 사이에 채무자인 회사의 재산상태가 장래 악화될 때에 대비하여 지급정지, 회사정리절차의 개시신청, 회사정리절차의 개시와 같이 도산에 이르는 과정상의 일정한 사실이 그 회사에 발생하는 것을 당해 계약의 해지권의 발생원인으로 정하거나 또는 계약의 당연 해지사유로 정하는 특약(이하 `도산해지조항’이라고 한다)을 두는 경우가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0. 2. 13. 선고 89다카10385 판결
채권자에 대한 채무변제를 위하여 다른 채권을 채권자에게 양도한 경우에는 특단의 사정이 없는 한 그 채권양도는 채무변제를 위한 담보 또는 변제의 방법으로 양도되는 것으로 볼 것이고 채무변제에 갈음하여 양도되는 것으로 볼 것은 아니므로 원래의 채권은 소멸되지 않는다.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2. 12. 26. 선고 2002다49484 판결
회사정리법 제123조 제1항 본문에 의하면, "정리채권 또는 정리절차 개시 전의 원인으로 생긴 회사 이외의 자에 대한 재산상의 청구권으로서 정리절차개시 당시 회사 재산상에 존재하는 유치권, 질권, 저당권, 양도담보권, 가등기담보권, 전세권 또는 우선특권으로 담보된 범위의 것은 정리담보권으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2. 10. 27. 선고 91다42678 판결
가. 회사정리절차가 개시된 경우에는 양도담보권자도 회사정리법 제123조 소정의 정리담보권자에 준하여 회사정리절차에서 그 권리를 행사하여야 한다.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6. 5. 25.자 2014마1427 결정
[1] 체육시설의 설치·이용에 관한 법률(이하 `체육시설법’이라고 한다) 제27조의 규정 취지가 영업주체의 변동에도 불구하고 사업의 인허가와 관련하여 형성된 공법상의 관리체계를 유지시키고 체육시설업자와 이용관계를 맺은 다수 회원들의 이익을 보호하는 데 있는 점 등에 비추어 보면, 체육시설법 제27조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해당하는 사유로 체육시설업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3. 2. 21. 선고 2010도10500 전원합의체 판결
[1] [다수의견] (가) 횡령죄는 다른 사람의 재물에 관한 소유권 등 본권을 보호법익으로 하고 법익침해의 위험이 있으면 침해의 결과가 발생되지 아니하더라도 성립하는 위험범이다. 그리고 일단 특정한 처분행위(이를 `선행 처분행위’라 한다)로 인하여 법익침해의 위험이 발생함으로써 횡령죄가 기수에 이른 후 종국적인 법익침해의 결과가 발생하기 전에 새로운 처분행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4. 2. 27. 선고 2011다59797,59803 판결
채무자 甲 주식회사와 채무자가 아닌 乙 등이 甲 회사의 丙 은행에 대한 대출금 채무를 담보하기 위하여 자신들이 소유한 부동산들을 신탁하였는데, 그 후 우선수익자인 丙 은행의 청구로 신탁부동산들이 처분되어 처분대금에서 丙 은행에 배분할 수익금을 공제하여 지급하는 방식으로 대출금 채무를 상환하게 된 사안에서, 자신의 채무를 담보하기 위하여 부동산을 신탁하는 위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1. 7. 13. 선고 2001다9267 판결
신탁법상의 신탁은 위탁자가 특정의 재산권을 수탁자에게 이전하거나 기타의 처분을 하고 수탁자로 하여금 수익자의 이익을 위하여 또는 특정의 목적을 위하여 그 재산권을 관리, 처분하게 하는 법률관계를 말하므로, 신탁자가 어음거래약정상의 채무에 대한 담보를 위하여 자기 소유의 부동산에 대하여 수탁자와 담보신탁용 부동산관리·처분신탁계약을 체결하고 채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7. 9. 21. 선고 2015다52589 판결
위탁자가 금전채권을 담보하기 위하여 금전채권자를 우선수익자로, 위탁자를 수익자로 하여 위탁자 소유의 부동산을 신탁법에 따라 수탁자에게 이전하면서 채무불이행 시에는 신탁부동산을 처분하여 우선수익자의 채권 변제 등에 충당하고 나머지를 위탁자에게 반환하기로 하는 내용의 담보신탁을 해 둔 경우,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우선수익권은 경제적으로 금전채권에 대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담보신탁의 경제적 분석: 도산절연의 문제를 중심으로
법경제학연구
2023 .04
담보신탁의 도산절연에 대한 고찰
상사판례연구
2019 .01
부동산 담보신탁의 도산절연에 관한 연구 -대법원 2018. 10. 18. 선고 2016다220143 판결-
원광법학
2019 .01
부동산담보신탁에서 수익권의 법적 성질
재산법연구
2017 .01
담보신탁과 담보권신탁에 대한 연구
인권과 정의
2022 .11
부동산 담보신탁에서 위탁자인 채무자가 도산하는 경우의 취급
법과정책
2018 .01
회생담보권조사확정재판이 계속 중인 채권자의 견련파산절차상 지위 - 대법원 2021.1.28. 선고 2018다286994 판결 -
재산법연구
2021 .01
사업증권화의 구조와 법적 문제점
증권법연구
2018 .08
회생절차가 담보권실행을 위한 경매절차에 미치는 영향- 대법원 2018.11.29. 선고 2017다286577 판결 -
홍익법학
2020 .01
신탁과 도산
기업법연구
2016 .09
채무자회생ㆍ파산제도의 운용상 문제점과 개선방안
회생법학
2020 .01
회생절차상 민사집행에 관한 고찰
회생법학
2022 .12
자기유익신탁에서 부동산 신탁자산의 보호 방법에 관한 법적 기법의 고찰 - 미국 파산법과 신탁법 규정을 중심으로 -
일감부동산법학
2020 .01
2017년 도산법 중요 판례
인권과 정의
2018 .01
2017년 부동산 담보신탁의 주요 판례의 분석
상사판례연구
2018 .01
회생 및 파산 절차에서 헌법상 재산권 보장
저스티스
2019 .02
채무자의 신탁재산의 처분 등 일련의 행위에 대한 사해성 판단 - 판례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하여 -
서강법률논총
2022 .02
미국의 ‘회생계획안 사전제출제도(Prepackaged Bankruptcy)’에 관한 연구
사법
2018 .01
부동산담보신탁에서의 수익권의 성질에 대한 검토
법학연구
2020 .01
담보신탁과 분양보증신탁에 관한 연구
사법
2017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