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들어가는 말
Ⅱ. 현행 과태료 제도의 함의 및 운영 개선 방향성
Ⅲ. 영국에서의 과태료 관련 제도의 운영 방향성
Ⅳ. 우리나라 과태료 제도 운영 개선 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대법원 2000. 5. 26. 선고 98두5972 판결
[1] 과태료와 같은 행정질서벌은 행정질서유지를 위한 의무의 위반이라는 객관적 사실에 대하여 과하는 제재이므로 반드시 현실적인 행위자가 아니라도 법령상 책임자로 규정된 자에게 부과되고 원칙적으로 위반자의 고의·과실을 요하지 아니하나, 위반자가 그 의무를 알지 못하는 것이 무리가 아니었다고 할 수 있어 그것을 정당시할 수 있는 사정이 있을 때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16. 9. 29. 선고 2015헌바121, 2016헌바221(병합) 결정
가.정의조항의 문언과 공중위생관리법의 입법목적, 관련규정의 내용 등을 종합하면, 숙박업은 영리를 목적으로 일반 공중을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주로 단기의 사용을 예정하고 있으며, 잠을 자고 머물 수 있는 시설 및 설비 등의 서비스를 서비스 제공자의 관리 아래 계속적·반복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본질적 요소로 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숙박업은 부동산임대업과는 개
자세히 보기대법원 1969. 7. 29.자 69마400 결정
행정질서벌인 과태료는 다른 특별한 규정이 없는 한 고의과실을 필요로 하지 아니한다.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4. 8. 26. 선고 94누6949 판결
과태료와 같은 행정질서벌은 행정질서유지를 위하여 행정법규위반이라는 객관적 사실에 대하여 과하는 제재이므로 반드시 현실적인 행위자가 아니라도 법령상 책임자로 규정된 자에게 부과되고 또한 특별한 규정이 없는 한 원칙적으로 위반자의 고의·과실을 요하지 아니한다.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행정질서벌의 체계 및 법정책적 개선방안
법과 정책연구
2019 .01
행정질서벌의 효율성을 위한 법제도적 개선방안
법학논총
2020 .09
과태료 집행 제도 개선을 위한 법제도적 전략 - 북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의 경험을 참고하여 -
공법연구
2019 .02
행정질서벌의 체계에 관한 소고
공법연구
2018 .02
독일의 행정제재제도에 관한 연구 - 과태료(Bußgeld)를 중심으로 -
행정법연구
2022 .11
행정형벌의 행정질서벌화 경향에 대한 소고 - 행정형벌의 비범죄화·비형벌화를 중심으로 -
한국범죄심리연구
2015 .01
행정법상에 있어 법집행 시스템의 체계적 구축에 관한 연구
공법학연구
2019 .08
행정제재에 관한 법제 개선 방안 - 벌칙 중심 규제의 개혁을 위한 시론 -
홍익법학
2022 .12
행정질서벌(과태료)의 효율적 개선 방안
유럽헌법연구
2017 .01
과태료의 부과 및 징수 절차에 대한 개선방안 - 특히「질서위반행위규제법」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
법조
2021 .01
프랑스법상 행정제재에 관한 연구
행정법연구
2022 .11
현행 과태료제도와 「질서위반행위규제법」의 개선방안
법조
2022 .10
입법환경 변화에 따른 행정질서벌 법제의 발전을 위한 소고
공법연구
2023 .06
소상공인 등 영업자 규제 차등화를 위한 행정형벌의 과태료 전환
법학논집
2022 .09
행정기본법 제정안의 평가와 주요쟁점 검토
공법학연구
2020 .11
행정형벌의 입법재량성과 그 한계에 대한 고찰
법학논총
2023 .01
행정법상 처분 개념 - 성문 개념 규정과 대법원 판례에 대한 비판 -
공법연구
2024 .12
과태료 제도의 현안과 「질서위반행위규제법」의 개정방안
법조
2022 .02
회사법상 등기위반에 따른 과태료규정과 실정법상의 문제점에 대한 고찰 : 중소기업 활성화를 위한 과잉규제입법 철폐를 추구하며
기업법연구
2015 .12
수사절차와 관련된 행정조사의 통제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보
2016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