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서론
Ⅱ. 황구연 구연설화의 채록과 분류
Ⅲ. 황구연 구연설화에 나타난 다중적 문화의식
Ⅳ. 결론
참고문헌
논문초록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국민담에서 노인 에피소드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2020 .01
『팥죽 할머니와 호랑이』민담과 옛이야기 그림책의 등장인물 비교
한국영유아보육학
2020 .05
설화의 창의적 이해·표현 교육 방안 연구- 웹툰 ≪실질객관동화≫에 나타나는 이야기 전승·향유 양상을 중심으로
교과교육학연구
2016 .01
Personal Tales of Engagement
Global Asia
2024 .06
朝鮮美術展覧会における郷土性概念
동북아시아문화학회 국제학술대회 발표자료집
2016 .10
‘참을 인자 세 번이면 살인도 면한다’ 설화 고찰
충청문화연구
2020 .02
庄河民间故事的传承及外译研究
Journal of China Studies
2017 .01
안동 민속문화의 진정성 확립을 통한 외국인 관광객 유치전략
호텔리조트연구
2016 .01
지속가능발전 유아교육의 관점으로 옛이야기그림책 읽기
교육철학연구
2017 .01
옛이야기 「팥죽 할머니와 호랑이」의 그림책 재화에 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2023 .03
미술표현활동의 지역화 수업 사례 연구 - 제주지역설화를 중심으로 -
미술교육연구논총
2017 .05
전래동화를 활용한 토의활동이 만 4세 유아의 인성과 마음이론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육아지원학회 학술대회지
2017 .04
전래동화를 활용한 토의활동이 만4세 유아의 인성과 마음이론 발달에 미치는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2017 .06
강원도 永郞 설화와 變移
한국학논총
2020 .01
민화의 미술치료적 의미 고찰- 매체와 제작기법을 중심으로 -
예술심리치료연구
2024 .09
전래동화를 활용한 미얀마인 대상 한국문화 교육
동남아연구
2017 .01
Bruner의 Folk Pedagogy에 기반한 수업과정의 재개념화 탐구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2019 .01
Bruner의 일상교수(Folk Pedagogy)에 기반한 유아·놀이 중심 활동의 재개념화 탐구
한국교육문제연구
2021 .03
재조일본인의 조선 민요 번역과 문화 표상 -『조선 민요의 연구(朝鮮民謡の研究)』(1927년)에서 『조선의 자연(朝鮮の自然)』(1929년)으로-
일본언어문화
2015 .01
A Study on Backgrounds and Characteristics of Folk Village Formation Based on Cases of Traditional Villages in Korea and China
주거환경
2021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