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대 침향의 분류체계가 정립된 사회ㆍ경제적인 요인, 침향 계통의 수지 밀도ㆍ생성과정ㆍ형상에 따른 분류체계와 용도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침향의 분류체계가 송대에 정립된 사회ㆍ경제적인 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의 향료가 해상무역을 통해 대량으로 유입되었다. 둘째, 해상무역을 바탕으로 외국의 풍속과 物産을 소개하는 서적의 간행이 많았다. 셋째, 사대부들이 향료에 대한 품질과 香味를 중시하고 개인이 직접 合香을 제조하여 사용하는 문화가 성행하였고, 이에 따라 향 전문서의 간행이 활발히 이루어졌다. 넷째, 송대에는 해상무역을 통해 대량으로 유입된 향료를 도시의 향 가게에서 구입할 수 있게 되고 서민층의 생활수준이 향상되어 서민층까지 향료 사용이 확대되었다. 다섯째, 향료에 대해 약학적인 전문지식이 축적되어 약재와 음식에 활용되었다.
송대 침향 계통의 분류체계는 수지 밀도, 생성과정, 형상에 따른 것이다. 침향 계통의 수지 밀도는 침향 명칭의 유래이고 감별의 기준이 되어 매우 중요하다. 수지 밀도는 5단계로 구분할 수 있는데 가장 높은 5단계 沈香은 수지 밀도가 100%, 4단계 箋香은 70%, 5단계 速香은 50%, 3단계 暫香은 30%, 1단계 生香 10% 정도이다. 침향은 물에 넣으면 가라앉고, 전향은 가라앉지도 뜨지도 않으며 속향ㆍ잠향ㆍ생향은 물에 뜬다.
생성과정의 자연성 여부에 따라 자연적인 숙향[熟]과 인위적인 생결향[生]으로 분류된다. 숙향과 생결향은 수지 밀도에 따라 숙향은 침향ㆍ잔향ㆍ황숙향으로, 생결향은 생결침향ㆍ생결잔향ㆍ생결황숙향으로 분류된다. 숙향과 생결향의 품질을 서로 비교하면, 침향>잔향=생결침향>황숙향=생결잔향>생결황숙향의 순서이다. 품질이 가장 좋은 것은 침향이고, 수지 밀도가 같을 경우에는 대체로 숙향을 생결향보다 더 높게 평가하였다. 형상에 의한 분류는 색과 형태에 의해 명칭이 붙게 된 것이다. 침향ㆍ잔향ㆍ황숙향에 대해 각각의 형상에 따른 명칭이 있는데, 그 중 침향이 가장 많다.
송대 침향 계통의 용도는 약재, 향료로 사용되었다. 약재에는 숙향인 침향만이 사용되었는데, 침향은 독성도 부작용도 없는 上品藥에 해당된다. 약재로 이용할 때는 散ㆍ丸의 형식이 가장 많아서 열을 가하지 않고 곱게 가루 내어 복용하였다. 침향 계통이 향료로 焚香ㆍ薰衣香ㆍ화장품ㆍ음료ㆍ장식품 등으로 사용하였다. 침향은 單香과 合香으로, 잔향 이하는 모두 合香으로 주로 사용되었다. 薰香할 때는 은이나 雲母로 만든 隔火를 이용하여 향이 타면서 발생하는 연기나 그을음 없이, 간접적인 열로써 향기만을 나게 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薰衣는 옷에 향기를 스미게 하는 것이다. 薰衣香ㆍ濕香이 꿀로 반죽한 환인 반면, 裛衣香은 건조분말이다. 화장품은 面脂ㆍ澡豆ㆍ香粉으로, 음료는 香茶와 차가운 沈香水로 이용되었다. 장식품은 침향 계통을 조각하여 시각ㆍ후각적으로 즐겼다.
이처럼 송대에 침향 계통의 분류체계가 정립될 수 있었던 요인은 무엇보다도 침향 계통이 동남아시아와의 해상무역을 통해 대량으로 유입되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좋은 품질의 침향이 생성되는 데는 10-20년이 소요되어 생산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침향이 침향 계통 중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0.2%에도 미치지 못해 그 가치가 황금에 비견되는 귀한 향약이었다. 그 정도로 귀한 침향을 생산지에 따라 등급을 매기고 香味와 藥性을 이해하여 여러 용도로 사용했다는 것은 송대 해상무역을 통한 향약의 수입량과 유통량이 실로 엄청난 규모였음을 방증하는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귀한 침향이 향 전문서나 각종 서적에 기록될 만큼 그것을 집필한 사대부 계층에서도 침향을 충분히 누릴 수 있었으며, 침향의 사용이 이 정도라면 하물며 다른 향약의 사용 규모는 말할 필요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송대 향문화가 발달할 수밖에 없었던 근본적인 원인은 재정수입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던 향약을 대규모로 수입하고 유통하는데 송 정부가 적극 개입했기에 가능한 일이었던 것이다.
Results of classification system and use of Song dynasty agarwood line are as follows.
Chimhyang(agarwood, 沈香) is the name by the resin(樹脂) density, and various names along with the density are all "agarwood line". In respect of incense production method during Song dynasty literature, all of agarwood line was utilized as perfume, accordingly, understanding of classification system and each use of agarwood line is important.
Socioㆍeconomic factors why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agarwood line was finally established during Song dynasty are as follows. First, large quantity inflow of foreign perfume in Song dynasty through overseas trade. Second, publication of books that introduce foreign culture based on overseas trade. Third, publication of perfume specialized books. Fourth, expansion of perfume use through ordinary people. Fifth, accumulation of pharmaceutical knowledge on perfume.
Classification system of Song dynasty agarwood line was according to resin density, generation process, and the shape. Resin density of agarwood line was based on the name Chimhyang, which is very important, since it is the standard of discrimination. Resin density could be divided into 5 stages, the highest 5th stage Chimhyang has resin density 100%, 4th stage Jeonhyang(箋香) has 70%, 3rd stage Sokhyang(速香) has 50%, 2nd stage Jamhyang(暫香) has 30%, and 1st stage saenghyang(生香) has 10%. Chimhyang sinks down when putting it into the water, Jeonhyang does not sink nor float, however SokhyangㆍJamhyangㆍSaenghyang float on the water.
Agarwood line is classified into natural Suk(熟) and artificial Saeng(生) depend on naturalness in the generation process. If resin density is the same, mostly Suk was more highly evaluated than Saeng. Classification by shape was named by color and shape, which has lots of names.
Only Suk agarwood was used for medical stuff, and agarwood has no toxicity and side effect. When taking as the medical stuff, it was taken only fine powder type. Agarwood line was utilized as perfume, cosmetic and ornaments, e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