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굿의 공연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시작되었다. 그 방법을 찾기 위해 먼저 지금까지 이루어졌던 굿공연을 정리해야 했다. 무엇보다 공연의 미덕은 ‘다양성 창출'이라고 생각하기에 기존의 공연 문법을 정리하고, 이와는 다른 길을 모색하기 위함이었다. 그러나 1980년대부터 본격화된 굿공연을 정리하는 것은 생각보다 쉽지 않은 일이었다. 기존에 한 번도 정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본 연구자의 직․간접적인 경험에 의거하여 중요한 공연들을 시대순으로 정리해보았다. 무엇보다 공연을 가능케 하는 것은 그 공연의 기획자(때론 개인이 아닌 그룹일 수 있고, 때론 기관이다)이기에 이들을 주목하였다.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공간사랑, 굿학회, 마당세실극장, 서울놀이마당, 국립국악원이 굿공연의 중심 공간 및 기획 주체였다. 굿공연사 기술은 그 자체로 가치있는 작업이다. 그러나 이 작업은 개인의 노력으로 하기에는 방대한 작업이며, 그 가치의 확산을 위해서는 공공프로젝트로 진행해야 한다. 이에 본고는 이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한편 본고는 앞서 말했듯이 굿의 공연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전제조건으로 굿공연사를 기술했다. 시론적으로나마 굿공연사를 정리하니 대부분의 공연이 굿을 하는 이들이 공연 주체가 되었고, 그로 인하여 굿공연의 방식은 원래의 굿을 그대로 시간에 맞추어 실연하는 방식을 크게 벗어나지 못함을 알게 되었다. 이에 굿을 소재로 다른 방식의 공연을 하는 마당극패 신명과 연희패 The광대의 작업을 소개하였다. 이를 통해 총체적으로 얽혀있는 굿의 공연요소들이 잘 가공된다면 굳이 ‘재현’의 방식이 아닌, 새로운 공연으로의 소재나 메타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This article was started to find a way for creating a performance out of Gut. In order to find such way, the first thing that had to be done was to organize the Gut performances that had been made until now. It was to organize the existing study on the performances and to seek a different way from it, believing that the virtue of a performance is to ‘create diversity’. However, it was not easy to organize the Gut performances, which became full-scale in the 1980s, because they were never organized before. Therefore, based on my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 I have organized the most important performances in chronological order. Most importantly, as the planners of the performances (can sometimes be a group or an organization instead of an individual) are the ones who make the show possible, I have noted on them with keen interest. The National Folk Art Performance Contests in Korea, Theater ‘Space Sarang’, The Association of Gut, Theater ‘Madangsesil’, Seoul Nori Madang, and National Gugak center were the center space and planning body of the Gut performances. Recording the history of Gut is a worthwhile work of its own. However, it is a substantial amount of task to be done with individual effort, and it has to be progressed as a public project in order to promote and spread its value. Therefore, this article raises the need for it. Meanwhile, as stated earlier, this article has recorded the history of Gut performances as a precondition to finding a way to create a performance out of Gut. From the experimental organization of the Gut performances history, I could find out that most of the performances had the people who did Gut as the main body and the method of the Gut performance did not significantly deviate from just reenacting the original Gut at the time of when it was performed. Therefore, I have introduced Shinmyeong, the Nori-Pae (troupe), and TheGwangdae, the Korean Traditional Performance troupe, who create Madangguk from various Gut materials. By refining the wholly complicated performance elements of the Gut, it could escape from the ‘reenacting’ performance to becoming a material or a metaphor for a whole new perform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