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1. 서론
2. 러시아 민족정책의 변화와 고려인 민간신앙의 전승
3. 중앙아시아 고려인 민간신앙 : ‘하락시(Харакси)’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白虎觀會議融合今古文經學與讖緯之經過
중국어문학논집
2018 .12
한국사회 점복행위의 시장화에 관한 소고 -점복행위 확산과정과 점복제의영역을 중심으로-
실천민속학연구
2021 .08
미신 개념과 점복 의미의 역사적 변천과 현재
한국민속학
2022 .05
점복과 한국인의 삶
종교문화비평
2019 .01
고려인 한글문학의 유산과 과제
한국문학과 예술
2024 .12
‘근대성의 이면(裏面)’으로서의 점복, 그리고 그 너머
종교문화비평
2019 .01
미하일 박 소설에 투영된 고려인 주인공의 자아정체성 고찰: 『밤은 태양이다』를 중심으로
슬라브학보
2023 .12
현대사회 점복행위의 제도화 - 점복인 재생산과정과 지향점을 중심으로 -
실천민속학연구
2022 .02
불안의 전면화와 현대사회의 점복행위-점복인․점복관련업종사자들의 심층면접을 중심으로-
남도민속연구
2022 .06
구소련 지역 고려인 사회에 대한 재인식과 구조적 특징
민족연구
2016 .01
한국도교사에서 점복의 기능과 위상 -조선 시대의 도교 점복을 중심으로-
태동고전연구
2020 .01
晩河夢遊錄에 나타난 20세기 초유교지식인의 현실 인식과 닫힌 전망
한국한문학연구
2020 .01
1990년∼2014년 러시아⋅독립국가연합 고려인공동체의 변화와 전문성 증대
인문과학
2016 .01
고대 한국의 占卜 시행과 그 의미
대구사학
2017 .01
역경철학중 占관념의 변화연구
동서철학연구
2015 .06
고려인 여성 Y의 생애 과정에 나타난 한국인의 문화유전자
한국민족문화
2017 .08
점복(占卜)설화 활용 전통문화 교육방안
동아인문학
2019 .12
자연 현상과 農占 문화의 사례 고찰 -한국 세시풍속을 중심으로-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21 .06
전국시대 점복의 보편화에 대한 소고 - 《春秋左傳》과 전국시대 卜筮祭禱簡을 위주로
중국어문논역총간
2021 .01
茶山 占法[蓍卦法]과 白雲 占法의 문제점 탐색
대동문화연구
2022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