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1. 머리말
2. 행주대첩 이전 함경도 일본군
3. 행주대첩과 한강 지역 일본군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임진왜란 초기 조명 군사 협력의 양상 - 벽제관 전투 전후를 중심으로 -
한국사학보
2019 .05
임진왜란 전반기 조선의 對명 전략
역사와실학
2018 .08
임진왜란 전반기 조선의 남병(南兵) 인식과 활용 방안
한국사연구
2020 .06
임진왜란 시기 조선의대일 전략(對日 戰略) -1593년 일본군의 한성 퇴각을 중심으로-
史叢(사총)
2021 .09
조선의 對일 전략에 대한 일고찰 : 일본군의 남해안 철수 직후(1593.07~1594.02)를 중심으로
한일관계사연구
2021 .11
임진왜란 시기 조선의 대일 육상 전력 강화 - 1596년 강화협상 결렬 전후를 중심으로
동북아역사논총
2022 .06
Nurhaci in Korean Sources, 1594-1622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2016 .02
임진전쟁기 조선과 명의 전쟁인식과 군수정책
중국사연구
2022 .08
伊藤東涯의 『三韓紀畧』편찬과 조선 연구
사학연구
2018 .03
해양으로 본 임진전쟁기 울산전투의 역사적 의미
해항도시문화교섭학
2023 .10
해방 직후 일본군의 귀환 수송과 부산항
역사와실학
2021 .04
임진왜란시기 합천지역의 의병 활동과 전투
동양고전연구
2018 .01
조선에 남은 전쟁의 상흔: 임진전쟁과 조선의 인식 연구성과를 중심으로
서강인문논총
2024 .12
1598년 조선 조정의 명군지휘부 접촉과 전쟁국면 調整
史叢(사총)
2024 .09
일본군 기록으로 본 울산성 전투와 전투 직후 일본군의 동향
한일관계사연구
2024 .08
15세기 후반 조선의 서북면 방어와 명의 遼東 진출
역사와 담론
2018 .07
삼각관계 속의 고대 조선, 존망의 순간 -기원전 4세기~기원전 2세기경 동아시아 국제관계-
한국고대사연구
2023 .12
김태준의 조선-문학-사 구상과 조선 가요 -작품들의 고고학, 문서고로서의 문학사
한국현대문학연구
2019 .12
정유재란 시기 전라도 지역 일본군 동향과 조선의 대응
전북사학
2022 .07
16세기 초중반 한중관계의 이념성과 중층성
동양사학연구
2017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