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I. 문제제기
II. 한국전쟁 이해의 흐름과 탈식민주의적 관점
III. 전사자와 이데올로기
IV. 그리스도교 신앙의 역할
V. 결론
참고문헌
한글 초록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국의 전사자 의례 연구 : 해방부터 현충일 제정까지
종교문화연구
2017 .12
식민지 조선의 전사자 의례
종교문화연구
2016 .12
『전시생활』의 전사자 숭배 전략과 문화정치
한민족문화연구
2020 .01
A Study on the Transition and Religious Tolerance of Robert Lowell’s For the Union Dead
영어영문학연구
2015 .01
일제의 아시아태평양전쟁기 조선인 ‘戰死者’ 정책과 식민 지배
역사와교육
2021 .01
한국전쟁과 전남지역 기독교 연구 - 현황과 과제 -
남도문화연구
2020 .01
한시에 나타난 임진왜란의 체험과 기억
국문학연구
2021 .11
영화 <코코>에 나타난 삶과 죽음에 대한 인식
기호학 연구
2018 .01
생태 안정성에 대한 기억과 프레카리아트의 상상력 - 듀나의 「죽은 고래에서 온 사람들」에 대한 의료-환경 인문학적 접근
문학과환경
2023 .06
The Domestic Management and Media Coverage of Fallen Soldiers during the Korean War, 1950-1953
Korea Journal
2020 .06
<랜드 오브 마인(Land of Mine, 2015)>: 역사와 전쟁에서의 가해(자)와 피해(자)
서양사연구
2021 .11
무덤 없는 자들 — 임철우·문순태 소설의 매장 모티프 연구—
현대문학이론연구
2020 .01
6.25 전쟁과 한국교회
개혁논총
2020 .01
중국 민법 상 사자(死者)의 인격권에 관한 고찰
한중관계연구
2021 .10
新羅 積石木槨墓의 殉葬
고고광장
2020 .01
6·25전쟁기 개전일 기념의 의미화와 균열의 봉합
역사연구
2022 .01
죽음과 죽음 이후에 관한 그리스도교 신학의 이해
종교교육학연구
2019 .01
[추모시] 저만치 가고 이만치 오려고
시조시학
2021 .08
[추모시] “셔?”를 다시 읽으며
시조시학
2023 .06
패자 아이즈의 적군 전사자 제사와 그 정치적 맥락들
사림
2016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