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논문요지
Ⅰ. 문제의 인식
Ⅱ. 심층 패킷검사와 국제통신연합(ITTU)의 ‘Y.2770’ 등
Ⅲ. 심층 패킷검사와 헌법재판소의 결정례
Ⅳ. 국가의 역할과 기본권
Ⅴ. 대안의 제시
참고문헌
Abstract
대법원 2007. 6. 1. 선고 2006두20587 판결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6. 1. 13. 선고 2003두9459 판결
[1] 정보공개제도는 공공기관이 보유·관리하는 정보를 그 상태대로 공개하는 제도라는 점 등에 비추어 보면, 정보공개를 구하는 자가 공개를 구하는 정보를 행정기관이 보유·관리하고 있을 상당한 개연성이 있다는 점을 입증함으로써 족하다 할 것이지만, 공공기관이 그 정보를 보유·관리하고 있지 아니한 경우에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정보공개거부처분의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18. 8. 30. 선고 2016헌마263 전원재판부 결정
가. 통신제한조치에 대한 법원의 허가는 통신비밀보호법에 근거한 소송절차 이외의 파생적 사항에 관한 법원의 공권적 법률판단으로 헌법재판소법 제68조 제1항에서 헌법소원의 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는 법원의 재판에 해당하므로, 이에 대한 심판청구는 부적법하다.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패킷감청의 필요성과 정당성에 관한 법적 검토
홍익법학
2017 .01
인터넷 패킷감청의 현황과 과제
법학연구
2016 .12
패킷감청에 대한 위헌심사 – 헌재 2018. 8. 30. 2016헌마263 결정을 중심으로 –
헌법학연구
2019 .01
수사 · 정보기관의 통신정보 수집에 관한 비판적 연구 : 전기통신사업법 및 통신비밀보호법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법학연구
2018 .05
수사목적을 위한 개인정보 활용의 한계 - 통신자료 제공을 중심으로 -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
2020 .01
감청과 통신비밀의 갈등, 그리고 미래
법과 정책연구
2016 .01
통신비밀의 보호범위와 한계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 미국의 통신비밀보호법제를 중심으로
미국헌법연구
2016 .04
통신비밀보호법과 테러방지법상 영장주의 강화를 위한 법제정비 방안
성균관법학
2021 .06
포스트 코로나에서 정보통신의 헌법적 의미와 과제
헌법학연구
2021 .01
범죄수사에 있어서 통신자료제공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법학연구
2015 .09
통신제한조치 대상범죄에 사이버범죄의 포함 필요성
형사정책연구
2019 .12
「통신비밀보호법」상 통신사실 확인자료 제공관련 조항들에 대한 헌법적 검토 – 2018. 6. 28. 2012헌마191등 결정례와 2018. 6. 28. 2012헌마538 결정례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
헌법학연구
2019 .01
현행 통신비밀 보호법제의 헌법적 문제점
언론과법
2015 .04
통신사들의 탈통신 전략과 사례
한국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22 .06
비식별화된 통신사실확인자료의 제공 절차 도입을 통한 수사기관의 기본권 침해 최소화 방안
형사정책연구
2019 .03
독일의 휴대전화 위치정보추적수사와 당사자에 대한 통보제도- 통신비밀보호법 일부개정법률안에 대한 평가와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
법조
2019 .01
테러범죄에 대한 통신제한조치의 법적 검토
한국테러학회보
2018 .01
현행 통신비밀보호법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언론과법
2015 .04
이른바 저장통신의 법적 의의와 통신비밀의 보호
입법과 정책
2020 .01
에이전트 기반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Packet 통신성공율과 명령전달 비율의 상관관계 분석
한국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8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