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달마도》의 형식적 특징과 도상 해석 - '벽관(壁觀)'의 구현과 의미를 중심으로 -
추천
검색
질문

Formal Characteristic and Iconic Interpretation of 《Dalmado(Bodhi-Dharma Paintings)》 - Focusing on the realization and meaning of the “eye of the wall or state of the wall(壁觀 Byeokgwan)” -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강소연 (중앙승가대학)
저널정보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제87집 KCI Accredited Journals
발행연도
2021.3
수록면
291 - 322 (32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달마도》의 형식적 특징과 도상 해석 - '벽관(壁觀)'의 구현과 의미를 중심으로 -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논고에서는 《달마도》라는 주제의 회화의 감상 포인트가 무엇인지, 달마의 교법을 근거로 밝히고자 한다. 우선 대표 작품의 형식적 특징을 고찰하고 그 도상학적 의미를 해당 전거(典據)와 연결해 살펴본다. 요지를 먼저 기술하자면, 달마도의 핵심적 특징은 ‘벽관(壁觀)의 눈’이다. 어째서 그러한 도상학적 특징을 거론하였는지, 달마의 친설(親說)이라고 전하는 『보리달마사행론(菩提達磨四行論)』에서 벽관이라는 핵심 용어를 찾아 설명하였다. 달마의 이론으로 유명한 이입(理入)과 사행(四行), 나아가 견불(見佛)이 결론적으로 벽관의 경지와 어떻게 연결되는 지 논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특징이 어떻게 《달마도》에 반영되었는지, 먼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김명국의 〈달마도〉를 통해 형식적 특징을 상세하게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동아시아를 대표하는, 중국 송대의 〈달마도〉(대만 고궁박물원 소장) 및 일본 무로마치 시대의 〈달마도〉등을 선별하여, 한국 · 중국 · 일본의 동아시아의 맥락 속에서 그 전통과 특징을 비교하였다. 얼굴을 강조한 상반신의 《달마도》 이외, 달마 관련 주제인 달마도강(達磨渡江) 또는 달마도해(達磨渡海) · 노엽달마(蘆葉達磨) · 절로도강(折蘆渡江) 등의 작품들의 양상도 간략히 다루어, 《달마도》에 대한 이해를 더했다. 마지막으로 달마 친설로 전하는 ‘견불(부처를 본다는 것)’에 대한 정의에 의거하여, 기존 학계에서 강조된 이입과 사행도 중요하지만, 이입과 견불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달마의 교시를 함축하는 용어로서 벽관을 들어 그것의 구현으로서의 《달마도》의 의의를 논하였다.

목차

요약문
Ⅰ. 머리말
Ⅱ. 《달마도》의 형식적 특징과 경전적 전거
Ⅲ. 《달마도》의 주요 작례와 달마의 교시(敎示)
Ⅳ. 《달마도》에 대한 도상해석학적 고찰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