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들어가며
Ⅱ. 『재능(Дар)』 이전의 장편소설에서 오렌지 모티프 의 변화
Ⅲ. 『재능(Дар)』의 오렌지 - 예술 창작의 원리로
Ⅳ. 나가며 - 『재능(Дар)』 이후 오렌지 모티프의 파생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나보코프의 도스토예프스키 읽기 - 『절망』을 중심으로
슬라브학보
2021 .12
포스트 소비에트 러시아의 “나보코프 현상”
한국노어노문학회 학술대회 발표집
2016 .10
나보코프와 프루스트: 나보코프의 『마드모아젤 오』를 중심으로
세계문학비교연구
2016 .01
나보코프 단편집 『초르브의 귀환』: 과거와 기억, 그리고 극복의 서사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2023 .02
나보코프의 글쓰기 욕망과 소아성애증: 『롤리타』를 중심으로
영어영문학연구
2015 .01
“Postmodern Sublime of Double Reading: Vladimir Nabokov avec Sigmund Freud” Teckyoung Kwon, Nabokov’s Mimicry of Freud: Art as ScienceScience. Lanham, Maryland: Lexington Books, 2017
영어영문학
2017 .01
『투명한 물체들』의 양자론적 해석
영미어문학
2015 .09
Mimicry and Memory in Teckyoung Kwon’s Nabokov’s Mimicry of Freud
미국소설
2017 .11
[On This Topic] The Politics of Gift-Giving and Diplomatic Gifts in Traditional Korea
Korea Journal
2024 .06
『리처드 3세』와 권력의 연극성
Shakespeare Review
2016 .09
세계 설화에 나타난 '속박-탈출-복수'의 화소 고찰
문학교육학
2023 .06
나보코프와 러시아 망명문학 : 1930년대 망명 문단의 문학 논쟁을 중심으로
노어노문학
2015 .03
A Room of Her Own: Hong Ying on the Verge of Artistry and Pornography in K: The Art of Love
제임스조이스 저널
2015 .01
증여와 사회/공동체: 이론적 접합의 모색
비교문화연구
2020 .06
Мотив “футлярности” в повести А. Дмитриева “Воскобоев и Елизавета” и романе “Этот берег”
슬라브硏究
2021 .12
Asiatic Motifs and Korean Identity Inherent in Korean Myths: Wolf, Serpent, and Bird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21 .12
가치의 위기와 모스의 선물: 데이비드 그레이버(David Graeber)의 가치 이론을 중심으로
인문언어
2015 .01
“근본적인 계획”을 향하여: <기생충>에 나타난 연극성, 계층 갈등, 그리고 도덕적 애매함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2023 .06
정교회 모티프로 본 러시아 회화의 공간분할과 기호 분석
슬라브학보
2019 .12
메이예르홀트의 연기론: 미학적 특성과 그 무대 실현
슬라브硏究
2019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