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대회자료
저자정보
공미희 (부경대학교)
저널정보
동북아시아문화학회 동북아시아문화학회 국제학술대회 발표자료집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21년 춘계연합국제학술대회
발행연도
2021.7
수록면
104 - 111 (8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3)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study examines the conflicts and patterns of return in North Korea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especially before the Japanese in Pyongyang escaped to South Korea.
The Soviet military government has been stationed in North Korea since August 10, and after banning the movement of Japanese to outside areas, sent them to the Soviet mainland and the Siberian Primordial Territory to use them for various kinds of labor. The Japanese were not aware of the time of their return, and because of the tyranny of the Soviet army, women were always forced to live in an attitude of escape. The Japanese could not bear it and tried to smuggle and escape, but it was especially difficult to escape south because Pyongyang was the capital and various governing bodies were concentrated.
However, in a situation where they could not wait for their return, the mass escape began at the end of February 1946, and the official salvage of the Japanese was announced shortly after the mass escape was almost completed.

목차

1. 들어가며
2. 평양 거주 일본인의 실상과 갈등양상
3. 평양 거주 일본인의 귀환절차와 특징
4. 나오며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1-910-0018590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