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Hannah S. An (Torch Trinity Graduate University)
저널정보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한국이슬람연구소 Muslim-Christian Encounter Muslim-Christian Encounter Vol.14 No.2
발행연도
2021.9
수록면
195 - 246 (52page)
DOI
10.30532/mce.2021.14.2.195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유대교의 히브리 성경이나 기독교의 성경이 변조되거나 잘못 해석되었다고 가르치는 이슬람교의 전통적 개념인 타리프(taḥrīf)에도 불구하고, 중세 이슬람 세계의 일부 꾸란 학자들은 꾸란 주석과 이슬람의 역사적 연대기에서 타 아브라함 종교의 전승인 이스라일리얏(Isrā ’īliyyāt)을 다소 관대하게 차용하여 전유했다. 이 논문은 수니파의 알-타바리(al-Ṭabarī, 10세기)와 알-탈라비(al-Thaʿlabī, 11세기) 그리고 안달루시아의 알-꾸르투비(al-Qurṭubī, 13세기)와 같은 꾸란 학자들의 고전적 문헌에 초점을 맞춰 그들이 꾸란에 명시된 사울, 다윗, 골리앗(Q 2:246-251)을 기술하는 과정에서 꾸란 외의 정경적 자료를 어떻게 다뤘는지 고찰한다. 이제까지 영미 학계는 어느 정도 알-타바리의 『예언자와 왕의 역사』와 알-탈라비의『예언자들의 삶』을 개별적으로 다루었지만, 이들이 역사적 서술에서 해당 꾸란 본문을 주해하면서(Q 2:246-251) 히브리어
성경/구약의 자료를 어떻게 암시했는지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알-타바리를 인용하고 있는 알-탈라비의 역사적 주해와 알-꾸르투비의 꾸란 주석과 비교해 봄으로써 이 두 학자의 중첩되고 상반되는 부분을 선별된 꾸란 본문에 한해(Q 2:246-251) 분석해 보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알-탈라비와 알-꾸르투비 둘 다 알-타바리의 이슬람적 이념의 궤적과는 같이 하지만 유대교와 기독교 자료를 활용 및 인용하는 데 있어 서로 현저하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런 관용적 주해 성향이 유대교와 기독교 전통을 통해 꾸란의 해석적 공란을 채우려는 지나친 학문적 열성이며 꾸란의 근원적인 가르침을 타협했다는 의미는 아니다. 오히려 면밀히 살펴보면 상기 중세 무슬림 학자들
은 꾸란에 대한 진지한 경의를 토대로 꾸란 외의 전승을 능숙하게 다룸으로써 이슬람의 역사적 유산을 설득력 있게 전달하려고 노력했음을 알 수 있다.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SAUL, DAVID, AND GOLIATH IN THE QURʾĀN (Q 2:246-251)
Ⅲ. SUMMARY EVALUATION
Ⅳ. CONCLUSION
참고문헌
한글초록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