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김종삼과 박재삼 시에 나타난 물 이미지 비교 분석
한국문예창작
2016 .01
일본에서의 『선가귀감(禪家龜鑑)』 간행과 그 영향
한국사상사학
2016 .01
규남(圭南) 하백원(河百源)가문 소장 『적벽삼유록(赤壁三遊錄)』의 내용과 의의
코기토
2018 .10
進溪 朴在馨의 <해동속고경중마방> 연구
동양문화연구
2015 .01
조선 후기 『擇里志』의 읽기 방식 - 서발문 및 관련 저작을 중심으로 -
어문연구(語文硏究)
2016 .12
박재삼 시 연구 : 박재삼 시에 나타난 여성의 죽음과 의미
한국근대문학연구
2017 .04
박재삼 초기시에 나타난 장소성 고찰
국어문학
2018 .11
박재삼 시에 드러난 한(恨)의 승화
겨레어문학
2022 .12
고려와 거란의 전쟁 기록 복원
인문과학연구
2022 .09
고인돌의 성격에 대한 한 예
고조선단군학
2015 .06
「新羅 壽昌郡護國城 八角燈樓記」로 본 新羅末 大邱 豪族 再論
동방한문학
2015 .06
1617년 회답겸쇄환사의 사행문학 검토-『동사일기(東槎日記)』 수록 박재(朴榟)의 사행시(使行詩)를 중심으로-
열상고전연구
2018 .01
中華民國 標準字體 評述-국내 출판물에 쓰이는 漢字字形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漢字漢文敎育
2016 .01
<선가귀감>의 구조 분석을 통한 통합적 이해
종교교육학연구
2023 .02
박재 문중에 전하는『회답사일기(回答使日記)』의 형성과 의의
열상고전연구
2018 .01
제주 용천동굴 출토 토기 자료의 의미
탐라문화
2023 .03
박재삼 시의 존재론적 인식 연구— 후기시를 중심으로 —
현대문학이론연구
2017 .01
박재삼 시의 연민의 정서 연구
어문연구
2015 .01
東谿 趙龜命의 蘇軾 문학 수용과 변용 양상 연구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2018 .01
淸虛 休靜의 禪敎 이해
불교학보
2017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