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인도·이란 어파 자음 체계의 보편성 연구 -힌디·우르두어, 벵골어, 신할리즈어, 페르시아어, 파슈토어, 쿠르드어를 대상으로-
언어와언어학
2021 .01
I hope not에 나타난 부정어 not의 본질에 대하여
영어영문학
2016 .02
근대 시기 일본인 대상 한국어 학습서에 나타난 음운 현상 기술의 통시적 고찰
인문과학연구
2023 .03
말을 두고 말해본다
중국조선어문
2017 .03
전공글쓰기와 국어 음운사 지식의 구조
한말연구
2023 .06
음성 및 음운 연구의 지향과 방법에 대한 성찰
영어영문학
2015 .08
초등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음운규칙 교육 연구 『표준 한국어』를 중심으로
영주어문
2019 .01
고대 슬라브어 자음체계의 변천 연구: 유형적 보편성의 관점에서
동유럽발칸연구
2017 .01
Non-native acquisition of phonological features : Evidence from Korean and English consonants
음성음운형태론연구
2015 .04
한국어 교재에서 음운 규칙의 학습 순서와 텍스트의 대응 관계 분석
한국어학
2018 .05
형태단어와 음운단어
언어학 연구
2016 .04
전남 서부 지역의 /ㅢ/ 발음 양상과 특성
언어와 정보사회
2020 .01
早期官話에서 핵전 활음의 음운 형성 과정과 변화 원리에 관한 비단선 음운론적 연구
중국어문학논집
2015 .06
The conditions under which V-(i)b bo‘l expresses (im)possibility in Uzbek
알타이학보
2024 .06
순환 신경망을 활용한 조음 정보와 음운 자질의 연결 연구
언어과학
2021 .11
20세기 초 구어 말뭉치에 나타난 국어의 문법적 특징
한국어학
2016 .05
The effect of orthographic input in acquisition of the surface realization of second language phonological processes
언어
2018 .09
음절 간 어중 자음연쇄의 음운변동 유형과 한국어교육
언어와 문화
2020 .01
서울지역어와 경기지역어의 음운론적 대비 연구
방언학
2016 .01
음운론적 변이와 변화에 대한 종합적 검토
한국어학
2018 .0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