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구독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위만조선의 영역구조와 지역세력
Ⅲ. 예맥의 정체성과 창해군의 지역성
Ⅳ. 2郡의 폐합과 2部都尉의 설치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Legacies of Japanese Colonialist Historiography and Scholarly Views on Wiman Joseon
Korea Journal
2016 .03
망각과 재창출 : 『史記』 「匈奴列傳」에 기술된 戰國 燕의 영토확장과 東胡
동양사학연구
2017 .09
漢初 ‘關外郡’의 設置와 그 源流
중국고중세사연구
2015 .11
전한(前漢)의 동역(東域) 4군 설치 배경과 그 위치에 관하여
인문과학연구
2017 .03
제1현도군의 위치와 고구려
고조선단군학
2022 .04
청대 도로와 현대 고속도로로 고증한 고조선과 낙랑군의 실제 위치
고조선단군학
2017 .06
「朝鮮人民歷史講座」(1950)와 歷史敎育 -樂浪郡의 위치비정을 중심으로-
한국사학보
2021 .05
동북아시아에서 한사군의 국제정치적 의미
江原史學
2016 .01
위만조선 멸망 이후 유민들의 향방 - 일본 출토 대형 전한경의 전달 과정을 중심으로 -
고조선단군학
2021 .12
伊藤東涯의 『三韓紀畧』편찬과 조선 연구
사학연구
2018 .03
고조선대 창해군에 대한 재 고찰
전북사학
2017 .01
한사군은 어떻게 갈석에서 대동강까지 왔나? - 한사군인식2
仙道文化
2018 .08
낙랑군 동부도위 지역 邊縣과 군현지배
한국고대사연구
2015 .06
嶽麓秦簡을 통해 본 秦漢시기 “奔命警備”관련 법률
동양사학연구
2018 .03
前漢 黃河 下流 지역 郡國 변천의 지정학적 고찰
중국고중세사연구
2024 .08
‘한사군 한반도설’은 식민사학의 산물인가
역사비평
2016 .02
위만조선 시기 조선 유민의 남하
고조선단군학
2021 .08
진번 위치에 대한 재검토
한국사연구
2022 .06
고구려후 ‘騶’ 재고
백산학보
2021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