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1. 머리말
2. 社會敎育으로서의「朝鮮人民歷史講座」
3. 植民主義 歷史敎育의 淸算
4. 餘論: ‘樂浪平壤說’ 否定의 裏面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동북아시아에서 한사군의 국제정치적 의미
江原史學
2016 .01
청대 도로와 현대 고속도로로 고증한 고조선과 낙랑군의 실제 위치
고조선단군학
2017 .06
망각과 재창출 : 『史記』 「匈奴列傳」에 기술된 戰國 燕의 영토확장과 東胡
동양사학연구
2017 .09
‘한사군 한반도설’은 식민사학의 산물인가
역사비평
2016 .02
漢初 ‘關外郡’의 設置와 그 源流
중국고중세사연구
2015 .11
위만조선의 영역구조와 漢郡縣의 재편
고조선단군학
2021 .12
한사군은 어떻게 갈석에서 대동강까지 왔나? - 한사군인식2
仙道文化
2018 .08
고조선대 창해군에 대한 재 고찰
전북사학
2017 .01
전한(前漢)의 동역(東域) 4군 설치 배경과 그 위치에 관하여
인문과학연구
2017 .03
前漢 黃河 下流 지역 郡國 변천의 지정학적 고찰
중국고중세사연구
2024 .08
해적 張伯路와 2세기 전반 동아시아 국제정세 -反後漢 세력의 연동성과 황해-
백산학보
2023 .04
해방 이후 백남운의 한국사 인식과 역사교육
백산학보
2021 .01
한사군, 과연 난하 유역에 있었을까?
역사비평
2016 .05
제1현도군의 위치와 고구려
고조선단군학
2022 .04
최근 대만 역사교과서의 한국사 인식 변화 - 101과강 『선수역사(選修歷史)』와 108과강 『역사(歷史)2』 비교 분석
동북아역사논총
2021 .03
유득공의 역사 인식과 『사군지』
한국사연구
2023 .06
고구려의 대방 지역 진출과 영역화 과정
고구려발해연구
2020 .11
낙랑군 동부도위 지역 邊縣과 군현지배
한국고대사연구
2015 .06
고구려의 건국과 현도군
역사학연구
2021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