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I. 머리말
II. 邊縣의 행정지배 : 洞庭郡 遷陵縣과의 비교
III. 동부도위 영동 7현 지배의 변천
IV.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漢初 ‘關外郡’의 設置와 그 源流
중국고중세사연구
2015 .11
망각과 재창출 : 『史記』 「匈奴列傳」에 기술된 戰國 燕의 영토확장과 東胡
동양사학연구
2017 .09
後漢時期 邊郡통치의 변화와 樂浪郡 : 王調 반란의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사학보
2015 .11
고구려의 대방 지역 진출과 영역화 과정
고구려발해연구
2020 .11
後漢 光武帝의 官制・행정조직 개편과 그 배경― 인구 및 재정문제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
2022 .09
삼국지 한전에 기술된 한반도 중부 지역
역사와 담론
2019 .10
前漢 前期 南郡의 지역성과 郡縣 통치의 전개
중국사연구
2021 .12
秦漢 墓葬 出土 簡牘文書 유형 분류의 시론적 고찰 - 南郡 관할 지역 내 출토 사례를 중심으로 -
동양사학연구
2022 .09
한사군은 어떻게 갈석에서 대동강까지 왔나? - 한사군인식2
仙道文化
2018 .08
위만조선의 영역구조와 漢郡縣의 재편
고조선단군학
2021 .12
한국사에서 중앙-지방 관계의 변화 추이
역사학연구
2018 .02
동북아시아에서 한사군의 국제정치적 의미
江原史學
2016 .01
초기 고구려의 주도세력과 현도군
한국고대사연구
2015 .03
고조선대 창해군에 대한 재 고찰
전북사학
2017 .01
前漢 黃河 下流 지역 郡國 변천의 지정학적 고찰
중국고중세사연구
2024 .08
秦代 縣吏의 運用과 ‘新地’ 統治
중국고중세사연구
2022 .08
제1현도군의 위치와 고구려
고조선단군학
2022 .04
낙랑국의 실체와 낙랑 조선·낙랑군의 관계
고조선단군학
2022 .04
고구려의 州·郡·縣에 대한 재검토 : 중·후기 지방편제의 이해와 관련하여
사학연구
2019 .03
‘한사군 한반도설’은 식민사학의 산물인가
역사비평
2016 .0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