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윤수연 (한성대학교) 이주형 (한성대학교) 권혁진 (디자인봄으로)
저널정보
한국공간디자인학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제16권 제5호
발행연도
2021.8
수록면
99 - 110 (12page)
DOI
10.35216/kisd.2021.16.5.99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연구배경 및 목적) 브랜드 홍보관은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의 전략적 장소이자 기업이나 브랜드가 소비자와 만나는 접점이라고 할 수 있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소비자의 인식과 소비행태도 함께 변화하면서 공간의 역할 또한 달라지고 있다. 급격히 증가하는 브랜드의 범람 속에서 기업들은 브랜드를 효과적으로 소비자에게 홍보하고 경쟁 브랜드와 차별화하는데 주력하고 있으며,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본 논문은 브랜드 홍보관에서 표현되는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요소에 대해 분석하여 브랜드 홍보관 디자인을 위한 기초자료를 삼기위한 목적이다. (연구방법) 연구의 방법은 브랜드 커뮤니케이션과 브랜드 홍보관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하고 각 사례에 대해 사례조사법을 사용하였다. 먼저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의 개념과 전략, 브랜드 공간의 유형 등을 연구하고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성요소를 분류한 후 분석 틀을 이용하여 도출하였다. 국내 브랜드 홍보관을 사례로 선정하고 제시된 분석틀을 이용해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기업이나 브랜드의 가치와 브랜드 디자인 철학 요인인 의미요소보다는 표현요소로 구현되는 공간 연출에 의해 소비자들의 시선을 끌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각각의 표현요소를 분석한 결과는 상징적 오브제와 시각적 테마 연출이 높은 반면에 시각적 테마 연출 이외의 다른 공감각적 테마 연출요소는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인지도적인 측면에서 다소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브랜드 홍보관에서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은 시각적 표현요소로써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특히 상징적 오브제는 본질적으로 눈으로 인지되는 아이덴티티의 매개체로써, 소비자들에게 강한 임팩트를 준다. 또한 홍보관에서의 시각적 테마 연출은 브랜드나 제품 자체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하여 감성적 커뮤니케이션을 유발시킬 수 있어야 하며, 시각적 테마 연출 속에 브랜드 아이텐티티와 콘셉트, 제품이 자연스럽게 통일된 이미지를 소비자에게 전달하여 인식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토대로 브랜드 홍보관은 BI의 표현요소가 중요한 요소로 적용되면 앞으로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에 있어 효과적인 공간이 될 것이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3)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