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이승연 (영남대학교)
저널정보
한국민화학회 한국민화 한국민화 제19호
발행연도
2023.12
수록면
238 - 265 (28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사신(四神), 사령(四靈)의 하나이자 ‘하도낙서(河圖洛書)’의 전설을 가지고 있는 거북은 ‘현무(玄武)’라 불리며, 고대부터 장수(長壽)와 지혜, 예지력, 재복을 상징하며 신성시 되었다.
우리나라 선사시대 울주 반구대 암각화에서부터 도상이 나타난 거북은 삼국시대에서는 고분벽화에서 북방을 지키는 수호신인 ‘현무’의 모습로 나타났고, 고려시대 벽화와 석관에서는 ‘거북 단독형’으로, 조선시대 초기 노회신 벽화묘에서는 ‘거북 단독형’으로 실제 모습으로 그려졌다. 그 후 회화에서 거의 모습을 보이지 않던 거북 도상은 조선왕실의 기록인 흉례에 관한 의궤 에서 〈사수도(四獸圖)〉의 일원인 ‘현무’의 모습으로 그 존재감을 드러냈다.
이에 필자는 규장각, 외규장각, 장서각에서 소장하고 있는 의궤 에서 각각 22개, 19개, 12개, 총 53개의 현무 도상을 찾아 하나하나 도상의 형태를 분석하였고, 그 분석 자료를 토대로 조선시대 ‘궁중회화’와 ‘민화’에 나타난 거북도상을 통해 편년을 추정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할 수 있었다. 이에 〈십장생도〉 중에서 우리에게 잘 알려진 작품 9점을 선정하여 필자의 분석 자료와 〈십장생도〉를 서로 교차 분석하여 그동안 모호했던 작품의 편년을 새롭게 설정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고자 노력하였다.
Ⅱ장에서는 의궤 속의 현무 도상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처음 ‘귀사합체형’으로 그려졌던 현무는 1757년 정성왕후홍릉산릉도감의궤 에서부터 ‘거북단독형’으로 바뀌면서부터 마지막 의궤 까지 ‘거북단독형’으로 그려졌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거북 도상에 나타난 문양, 즉 등에 나타난 육각형의 귀갑문, 다리의 화염문, 배와 연갑판에서 나타난 문양, 그리고 거북의 꼬리 수의 변화를 보면서 회화에 그려진 거북 도상의 편년을 유추할 수 있는 근거 자료를 마련하였다.
Ⅲ장에서는 고려시대부터 이미 존재하고 있었던, ‘세화’와 ‘길상화’로 그려진 〈십장생도〉 작품 중 우리에게 잘 알려진 9점의 작품을 선정하여 Ⅱ장에서 분석한 자료를 토대로 편년을 유추해 보았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십장생도〉는 19세기 초, 리움미술관 소장 〈십장생도〉는 19세기 중반,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십장생도〉 3점은 각각 1860년 이후, 20세기 초, 20세기 초로 추측되었다. 특히, ‘1880년’이라는 명확한 기년이 있는 미국 오리건대 박물관 소장 〈십장생도〉는 필자의 분석 자료로도 19세기 작품임을 추측할 수 있었고, 이에 필자의 현무 도상의 분석에 따른 편년에 대한 근거의 신뢰도를 높여주는 작품이라 할 수 있어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온양민속박물관 소장 〈십장생도〉는 18세기가 아니라 19세기로 추정되었다. 도식화되고 정형화된 궁중 회화는 의궤 의 분석 자료를 대입하여 연대를 추정하는데 별 무리가 없었지만 궁중 회화가 아니라 민화로 그려진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십장생도〉 2점은 필자가 20세기 초로 추정은 하였지만, 작가의 개성과 표현의 자유로움이 잘 나타난 민화는 필자의 분석 자료를 대입하여 연대를 추정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작품의 연대를 추정할 때는 작품의 구도, 색채와 안료, 각 소재의 도상 변화 등을 함께 고려해야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편년이 확실한 의궤 속에 그려진 ‘거북 도상’을 분석함으로써 편년을 추정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본다.
필자가 논문을 발표하기 전에 찾지 못했던 의궤 에서 추가로 〈사수도〉를 더 찾았고, 더불어 10개의 현무 도상도 더 찾을 수 있었다. 현재까지 규장각 27개, 외규장각 18개, 장서각 18개 총 63개의 현무 도상을 찾았다. 그러나 추가로 발견한 현무 도상은 이전 필자가 발견한 현무 도상과 같은 선상에 놓여 있어서 필자의 논문을 수정해야 되는 상황은 아니어서 다행스러움과 함께 아쉬움이 공존하였다. 아직도 필자가 찾지 못한 〈사수도〉가 그려진 의궤가 더 있을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며, 이것은 필자의 숙제이기도 하고 추후 현무 도상 관련 연구를 하는 사람들에게 남겨진 숙제라고도 생각한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의궤』속의 현무 도상
Ⅲ. 〈십장생도〉 편년 연구
Ⅳ.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151-24-02-089319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