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리우창(劉暢) (중국 상해사범대학(上海師範大學))
저널정보
연민학회 연민학지 연민학지 제41권
발행연도
2024.2
수록면
39 - 60 (22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新羅末, 崔承祐、崔匡裕、朴仁範、崔致遠等人在唐賓貢及第, 因時值晚唐, 故歷來多言其有晚唐詩風, 今學界研究亦往往受此影響, 聚焦宾贡诸子的晚唐詩風。 但所謂“詩風”, 當指詩歌風格, 包括內容和形式上別具一格的特點。 嚴格來說, 今文學史所謂“晚唐詩風”, 當指晚唐詩歌的“風格”, 即區別於初盛中唐的詩歌特點, 是屬於晚唐這一時代的獨特標識。 晚唐社會整體陷入危機, 在苦悶的時代風氣下, 詩人創造力衰減, 詩人將關注點由國家命運轉移至個人生活, 尤其私人情感與哲學思考, 詩壇整體由注重風骨、興寄, 轉向對聲律、辭采、韻味的追求, 詩歌感情往往細膩傷感, 也更注重藝術形式的精工雕琢, 詩學史也將“晚唐詩風”歸納為偏愛形式美, 致力於藝術上的精雕細琢、鍛造工致, 而以温庭筠、李商隐等人的詞采華贍、聲情流美、細膩委曲為典範。 以此, 文學史對“晚唐詩風”的概括, 乃出於對時代新風的把握, 並非對詩壇全貌的總述。 實際的晚唐詩壇, 風氣龐雜:李頻等人學賈島的清苦, 項斯、司空圖等人學張籍的雅正, 于濆、曹鄴等學元結的簡古, 陸龜蒙學韓愈的博奧, 羅隱學白居易的通俗, 李群玉、吳融等人則學溫庭筠、李商隱的精工典麗, 各種風格不乏其人, 更有如杜荀鶴、皮日休融合多家詩風者。 若細讀賓貢諸子的傳世作品, 其詩作抒寫的內容並不都帶有明顯的晚唐特征, 在藝術形式上雖嚴守近體詩格律, 但未見形式上的精雕細刻; 且除卻李商隱等晚唐詩人的影響, 也有體現對初盛中唐唐詩的接受。 从这一角度来看, 不属文学史“晚唐诗风”典型。 諸子詩風的形成, 既源自其在晚唐的生活經歷, 又與晚唐與新羅的時代背景密切相關, 在唐末、羅末兩國衰颯時代氛圍下, 诸人诗作體現出個人有志難伸的苦悶壓抑, 这与晚唐詩衰颯的氛围相符应。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