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요약〕
Ⅰ. 머리말
Ⅱ. 씻김굿의 절차와 공간
Ⅲ. 무복ㆍ굿청ㆍ무구ㆍ무악
Ⅳ. 인근 지역과의 비교와 특징
Ⅴ. 맺음말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서울굿의 양상과 변화
한국민속학
2004 .06
서울 무속의 지역적 정체성
비교민속학
2005 .06
남해안 용왕굿의 현장론적 연구 : 벌교 장도용왕굿을 중심으로
한국민속학
2003 .12
전북지역 마을굿의 구조와 의미
한국민속학
2003 .12
씻김굿 · 성주굿의 현장과 두 굿의 비교
한국무속학
2006 .12
서울굿의 현재적 양상
한국무속학
2006 .08
굿공연사 기술을 위한 시고 - 굿의 공연화 방법 모색을 위한 -
공연문화연구
2018 .01
고정희 굿시의 재매개 양상 연구 -『저 무덤 위에 푸른 잔디』를 대상으로-
서강인문논총
2020 .08
강원 태백굿의 양상과 특징
한민족문화연구
2019 .01
굿과 한국 셰익스피어 : 양정웅의 〈햄릿〉과 오태석의 〈템페스트〉를 중심으로
Shakespeare Review
2013 .06
굿, 소통을 통한 관계맺음의 의례
한국무속학
2016 .02
삼척 미로단오굿의 연행양상과 특징
민속연구
2018 .02
동막도당굿의 무용학적 고찰
한국무속학
2014 .02
전라도굿의 다양성에 대한 재인식
한국무속학
2015 .08
굿 문화사 연구의 성찰과 역사적 인식지평의 확대
한국무속학
2006 .02
서울굿에 나타난 성의 문제
실천민속학연구
2006 .06
진도 씻김굿의 물질문화 연구 : 무구와 무복을 중심으로
한국무속학
2000 .12
호남지역과 영남지역 마을굿의 비교 연구 : 공연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비교민속학
2008 .02
강원도 영월 단종제 대왕굿의 구조와 발전 지향점
강원민속학
2009 .09
무당굿춤의 전형으로 굿춤 명칭의 의미
한국무속학
2019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