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머리말
2. 조선정보위원회와 선전영화
3. 선전영화의 상영과 반응
4. 맺음말
〈별표〉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Industrial Exhibitions ('Gongjinhoe') and the Political Propaganda of Japanese Imperialism in the 1910s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2002 .12
일제의 한국 강점 논리와 그 선전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10 .12
조선총독부 고적조사사업에 대한 평가와 인식 -패전 후 일본 학계의 동향을 중심으로-
한일관계사연구
2020 .05
1915년 조선물산공진회에 나타난 식민 권력의 이미지 구축 시도 -미술관 전시를 중심으로
탐라문화
2020 .01
淸日戰爭 前後 일제의 戰爭 捏造와 일본 언론의 煽動
역사교육
2012 .09
일제말 전시체제기 조선방공협회의 활동과 반공선전전략
역사와현실
2014 .09
일본의 武士와 조선 文士의 정신세계 -무사도와 선비정신의 비교연구-
日本學硏究
2011 .01
The Identity of “Joseon Film”: Between Colonial Cinema and National Cinema
Korea Journal
2019 .12
중국소설 《西遊記》 번역본의 조선후기 유통에 관한 연구 : 영남대 소장 번역필사본을 중심으로
중국어문논역총간
2017 .01
일제강점기 〈초등교과서〉에 서사된 영화 考察 : 조선총독부 편찬 〈일본어 교과서〉를 中心으로
일어일문학
2010 .11
Enlightening the Other : Colonial Korean Cinema and the Question of Audience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15 .06
1930년대 중후반 식민지 조선 금융기구 개편론의 전개와 함의
한국사연구
2020 .09
조선총독부 도시계획 관련 정책 심의기구 연구 : 조선총독부토목회의와 시가지계획위원회
한국사연구
2006 .09
북한 종합예술잡지 ≪조선예술≫ 수록 미술 자료 연구
통일인문학
2020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