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1. 문제제기
2. 선거, 지역주의 그리고 지역성
3. 소선거구제와 ‘닫힌 지역주의’
4. 중선거구제의 효과 분석: 중선거구제와 지역성의 발현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지방 선거에서의 유권자의 특성: 총선 및 대선과의 비교 분석
한국시민윤리학회보
2011 .01
Constituency Where? A Note on Substitution
생성문법연구
2015 .01
제18대 대통령선거와 영남지역의 지지율 분석
한국시민윤리학회보
2013 .01
선거와 지역감정
인물과사상
2000 .02
선거때만 되면
시조시학
2012 .06
2002년 충북지역 지방선거의 특징과 지방선거제도의 개선방안 연구
호서문화논총
2003 .02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대행선거’ 연구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18 .11
6·4 지방선거 분석 : 인천지역을 중심으로
황해문화
1998 .09
6․2 지방선거와 정치공급자의 인터넷 선거운동: 홈페이지와 SNS의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시민윤리학회보
2010 .01
선거 기사문에 나타난 은유 : [선거는 전쟁이다]
담화와인지
1997 .06
Locality Effect vs Anti-Locality Effect
새한영어영문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2016 .05
제18대 국회의원선거와 부산지역 정당지지도 분석
한국시민윤리학회보
2008 .01
디지털미디어 선거콘텐츠에 대한 유권자 인식 연구
주관성 연구
2018 .01
용, 왜 지역마다 다른가
실천민속학 새책
2000 .11
선거는 국민의 뜻을 반영하는가
인물과사상
2008 .06
선거제도 개혁론
계간 사상
1991 .12
선거제도의 개혁
계간 사상
1995 .06
2004년 17대 총선의 결과와 한국정치의 변화
담론201
2004 .01
재외한인의 재외선거 참여 활성화에 관한 연구
재외한인연구
2020 .01
미국 지방 선거제도와 정치적 효과에 관한 고찰: 정당공천제와 선거구제를 중심으로
한국시민윤리학회보
2010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