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들어가며
Ⅱ. 판결의 내용에 대한 이해
Ⅲ. 검토 사항
Ⅳ. 결론
〈Abstract〉
대법원 2006. 11. 9. 선고 2006다42313 판결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8. 1. 20. 선고 97다18936 판결
[1] 운송회사가 화물자동차 운전사들에게 지급한 출장식대 및 작업출장비는 근로의 대가인 임금으로 볼 수 없으므로 퇴직금 산정의 기초인 평균임금에 산입해서는 안 된다고 한 사례.
자세히 보기의정부지방법원 2005. 7. 12. 선고 2004가단11230 판결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4. 4. 12. 선고 92다20309 판결
가. 노동조합이 설립되어 있지 않고 사업장이 전국에 17개나 산재하여 있으며 근로자의 수도 약 2,200명이나 되었기 때문에 보수규정을 불이익하게 변경하면서 집단적 의사결정방법에 의한 동의 대신에 이사회의 결의와 근로자 대표의 동의를 얻은 경우 취업규칙의 불이익변경에 대한 근로자측의 동의를 얻은 것으로 본 원심판결을 파기한 사례.
자세히 보기서울고등법원 2006. 2. 7. 선고 2004나49800 판결
자세히 보기의정부지방법원 2007. 9. 13. 선고 2006나10096 판결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5. 2. 28. 선고 94다8631 판결
가. 근로기준법시행령 제5조상의 평균임금을 정할 수 없다는 것에는 문자 그대로 그 산정이 기술상 불가능한 경우에만 한정할 것이 아니라 근로기준법의 관계규정에 의하여 그 평균임금을 산정하는 것이 현저하게 부적당한 경우까지도 포함하는 것이라고 보아야 한다.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9. 11. 12. 선고 98다49357 판결
[1] 구 근로기준법시행령(1997. 3. 27. 대통령령 제15320호로 제정되기 전의 것) 제5조는 근로기준법과 그 시행령의 규정에 의하여 평균임금을 산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노동부장관이 정하는 바에 의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여기서 평균임금을 산정할 수 없다는 것에는 문자 그대로 그 산정이 기술상 불가능한 경우에만 한정할 것이 아니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9. 5. 28. 선고 2006다17287 판결
[1] 근로자의 정당한 권리행사 또는 근로자에게 책임을 돌리기에 적절하지 않은 사유로 근로자가 평균임금 산정에서 불이익을 입지 않도록 특별히 배려한 구 근로기준법 시행령(2003. 12. 11. 대통령령 제1815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조 제1항의 취지 및 성격을 고려할 때, 그 제6호 `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9. 10. 15. 선고 2007다72519 판결
[1] 근로자가 의도적으로 현저하게 평균임금을 높이기 위한 행위를 함으로써 근로기준법에 의하여 그 평균임금을 산정하는 것이 부적당한 경우에 해당하게 된 때에는 근로자가 그러한 의도적인 행위를 하지 않았더라면 산정될 수 있는 평균임금 상당액을 기준으로 하여 퇴직금을 산정하여야 하고, 이러한 경우 평균임금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근로자가 의도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9. 5. 12. 선고 97다5015 전원합의체 판결
[1]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금품이 평균임금 산정의 기초가 되는 임금 총액에 포함될 수 있으려면 그 명칭의 여하를 불문하고, 또 그 금품의 지급이 단체협약, 취업규칙, 근로계약 등이나 사용자의 방침 등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이라 하더라도 그 지급의무의 발생이 근로제공과 직접적으로 관련되거나 그것과 밀접하게 관련된 것으로 볼 수 있는 것, 즉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2. 8. 23. 선고 2002다4399 판결
[1] 운송회사가 그 소속 운전사들에게 매월 실제 근로일수에 따른 일정액을 지급하는 이외에 그 근로형태의 특수성과 계산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하루의 운송수입금 중 회사에 납입하는 일정액의 사납금을 공제한 잔액을 그 운전사 개인의 수입으로 하여 자유로운 처분에 맡겨 왔다면 위와 같은 운전사 개인의 수입으로 되는 부분 또한, 그 성격으로 보아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임금관련 제도의 유연안정화 법리
노동법학
2006 .06
임금개념과 평균임금ㆍ통상임금의 산정범위
기업법연구
2004 .12
현행 임금제도의 비판적 검토
노동법연구
2002 .06
최저임금법상의 비교대상임금에 대한 비판적 분석 : 대법원 2007.1.11. 선고 2006다64245 판결을 중심으로
노동법연구
2010 .03
임금 체계 개편의 법적 쟁점과 과제
노동법학
2014 .09
평균임금 산정방법의 해석상 문제점과 입법적 개선방안 : 대판 2013. 10. 11, 2012다12870 판례 평석
저스티스
2015 .06
노동법상 임금결정원칙
노동법논총
2011 .04
지난 20년간 임금 법제의 해석과 입법의 동향
노동법연구
2009 .03
최저임금제도의 새로운 구상과 법적 과제
노동법포럼
2017 .11
최저임금 비교대상임금의 범위 조정
노동법학
2018 .06
통상임금의 본질개념으로서의 ‘통상성’
노동법포럼
2013 .10
통상임금에 관한 법적 문제점과 개선방안
노동법논총
2013 .08
통상임금제도의 변화와 과제
노동법학
2012 .12
복지포인트의 통상임금성 판단에 관한 소고(小考)
法學論文集
2017 .01
최저임금법상 비교대상임금과 통상임금
노동법연구
2007 .09
통상성으로 본 대법원의 통상임금법리
노동법학
2014 .03
최저임금의 적용 차등화 방안 연구
노동법학
2018 .06
근로기준법상 임금정의규정의 합리적 해석방안
노동법학
2013 .06
0